본문 바로가기
경제

390만원 예상 환급금! 직장인연말정산방법과 환급일은 언제?

by 별별의 경제적 자유 이야기 2025. 1. 18.
반응형

다들 연말정산 시작하셨나요~?

2025년 1월 15일 간소화서비스 오픈

1월 20일 간소화서비스 확정 !!

 

국세청에서 이번 2025년 1월 15일부터

개편된 간소화서비스를 오픈하였다고 합니다.

자료 : 국세청 보도자료(25.01.15)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는

근로자가 동의 절차를 거치면

국세청이 간소화 자료를 회사에 직접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이제는 세무서에 직접 방문하는 등의 절차 필요없이

회사 시스템으로 손 쉽게 연말정산이 가능합니다.

자료 : 국세청 보도자료(25.01.15)

최종 확정된 간소화 자료는 1월 20일부터 제공되기 때문에

추후에 꼭 추가, 수정된 자료를 반영한 간소화자료로

정확한 연말정산 하시길 바랍니다.

#직장인연말정산

#개인연말정산 #연말정산방법 #연말정산결과

#연말정산환급금지급일 #연말정산환급금조회

#연말정산환급일언제

직장인연말정산 저도 시작해보았어요 ft EPAYROLL

개인연말정산 이번에 드디어 시작!!

연말정산 결과 바로 알아보죠

저는 직장인인어서 회사에서 진행하는

개인연말정산을 진행해봤습니다.

(시간 빠른 것 무엇~!?ㅎㅎ)

회사에서 연말정산 일정을 안내하면서

저의 웹사이트 소득공제 신고서를 작성해보고

연말정산을 가계산해보라고 합니다.

연말정산방법을 시작하기에 앞서

저의 1년치 급여가 잘 반영되었는지 확인부터 하고 시작합니다.

급여, 성과가 연말정산 시스템에 잘 입력되었는지 확인하고,

누락된 부분이 없는지 체크했습니다.

①나의 급여정보가 잘 입력되었는지 확인!!

먼저 나의 급여와 상여 등 소득이 시스템에 잘 반영되었는지 확인부터!!

크게 이상 없습니다.

저희 회사는 EPAYROLL 시스템을 사용하여

연말정산을 하는데 연말정산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집에서도 로그인이 잘 되네요 ㅎㅎ)

자료 : EPAYROLL시스템 예시

이페이롤을 통해 연말정산을 수년 째 하고 있는데

편리하고 좋더라구요ㅎㅎ

"회사 연말정산방법 FLOW 예시"

근무지 자료입력-> 기본정보 및 부양가족 -> 국세청 자료 업로드

-> 국세청외자료입력 -> 연말정산예상세액계산 -> 소득공제신고서 출력

E-PAYROLL

 

②종전 근무지 자료 입력

작년에 다니던 회사에서 이직했다면

체크하는 '전근무지자료입력'!

보통

전회사에서 퇴사할 때 세금을 정산하여 대부분 환급해주는 경우

연말정산에서 전근무지와 현근무지 연말정산을 합산하면

토해낼 수 있습니다.

자료 : EPAYROLL(연말정산방법-종전근무지자료입력)

일단 저는 종전근무지 없으니깐 '없음' 체크하고 넘어갑니다.

③기본정보 및 부양가족

저의 기본정보를 꼼꼼히 체크합니다.

이번에 신설된 결혼세액공제는 아니오.

한부모 X, 세대원 ㅇ, 배우자 없음 등..

아쉽게도 저는 인적공제 받을게 하나도없네요.

자료 : EPAYROLL(연말정산방법-기본정보 및 부양가족 입력)

저는 결혼도 안했고,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따로 받는 내역이 크지 않아서

소득세원천징수 세액조정신청을 120%로 해놓고있습니다.

저의 특이하게

즉,1년 동안 월급 때마다 평소에 세금을 20% 더내고

연말정산 때 13월의 월급을 받고자 합니다.

이론상으로 80%로 세액조정을 하여

평소에 세금을 적게 내고, 연말정산 때 내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결과적으로 1년 간 수령할 세후 월급은 똑같고,

내야할 세금도 내야할 금액은 같겠지만,

13월의 월급날에 세금을 토해내는 것이 제 상황에 좋지 않아

그렇게 진행해왔습니다.

저는 딱히 소득공제나 세액공제받을게 없어서

120%로 해두고 연말정산 해두면

4월 건강보험료 연말정산,

5월에 종합소득세 100만원 넘게 낼 때 유용하게 쓸 수 있더라고요.

(평소에 세후월급이 적어진다는 단점이 있음)

자료 : EPAYROLL(연말정산방법-기본정보 및 부양가족 입력)

부양가족 정보도 확인하는데 본인공제 150만원 말고는

받을게 1개도 없습니다..!

④국세청 자료 업로드

(*꼭 1월 20일 간소화자료 확정자료로 올리시길!!)

자료 : EPAYROLL(연말정산방법-국세청 자료 업로드)

홈택스에 가서

연말정산간소화 자료를 다운받아서 업로드 합니다.

홈택스가 잘되어 있어서 간편인증하고,

홈택스 -> 연말정산간소화에 들어가면

연말정산간소화 시작하기 -> 한번에 조회하기 누르면 끝!

홈택스 : 연말정산간소화 다운받기

한번에 조회하기를 누르면 하나씩 각 금액들이 입혀집니다.

홈택스 : 연말정산간소화 다운받기

자료를 PDF로 내려받아 시스템에 업로드 해 줍니다.

홈택스 : 연말정산간소화 다운받기

업로드 하니깐 아래와 같이 신용카드 금액부터, 의료비, 연금저축, 기부금 등의

EPAYROLL 시스템에 금액이 입력되었습니다.

 

자료 : EPAYROLL(연말정산방법-국세청 자료 업로드)

전자문서 업로드 내역이 잘 확인되었고,

시스템에 그 입력내역디 온전히 반영되었음을 확인하고 넘어갑니다.

⑤국세청외 자료입력

저는 국세청 자료입력으로 입력이 끝납니다.

본인 및 가족 명의로 지출한 특별공제나 특별세액공제를 입력하거나

세액감면 및 외국납부세액 등을 입력합니다.

저는 따로 없어서 패스했습니다.

자료 : EPAYROLL(연말정산방법-국세청 외 자료입력)

⑥연말정산 예상세액계산

저의 급여정보와 업로드된 국세청 간소화 자료로

일단 연말정산 가계산을 시작해봅니다.

올해 급여는 정말 좋았는데,

소득공제 및 세액공제 받은게 거의 없어서 아쉽네요.

-인적공제 본인 150만원

-신용카드 등 소득공제 -130여만원

-퇴직연금 900만원 납부 : 100만원 넘게 세액공제

-기부금 세액공제: 고향사랑기부제 등 참여

자료 : EPAYROLL(연말정산방법-예상세액계산)

위 4가지 말고는 딱히 세금을 제할게 없습니다.

그렇게 꼼꼼하게 확인을 다 하고나면

연말정산 예상세액계산을 눌러봅니다!

두구두구~

자료 : EPAYROLL(연말정산방법-연말정산 예상세액계산)

오 !!

소득세 환급금 -3,548,410원

지방소득세 환급금 : -354,790원

총 3,903,200원 =연말정산 390만원 환급!!

자료 : EPAYROLL(연말정산방법-예상세액계산)

해당 시스템은 연말정산마이너스면 환급

연말정산플러스면 추가납부로 표시 됩니다.

13월의 월급이 꽤 괜찮네요!!

작년에도 300만원 정도 환급받았습니다!

https://blog.naver.com/gyujin0917/223324613135

제 월급기준으로 평소에 소득세 원천세 120%로 해두면

300만원 정도 13월의 월급으로 환급금 받는 것 같고,

작년보다 100만원 더 환급된 이유는

퇴직연금 세액공제100만원 정도가있기 때문입니다.

작년 말 900만원 퇴직연금으로 입금했더니

세액공제 100만원 조금 더 넘게 받아

-소득세 원천징수율 120% 300만원 평소 세금 더낸 것 환급

-100만원 정도 퇴직연금 세액공제

->약 400만원 연말정산 환급금이 발생한 것 같습니다.

주변을 살펴보니

부양가족이 많이 있거나 의료비 꽤 지출이 있거나

기부금을 많이 낸 사람들은 환급금이 확실히 많긴 하더라구요.

작년 고배당주를 많이 사서 배당소득이 2천만원이 넘었고,

블로그 소득 등도 꽤 나왔고,

24년도 급여도 크게 올랐기에 건강보험료 연말정산 때 추가납부금이 있어

해당금액은 저축하지 않고 CMA나 파킹통장으로 그대로 보관하려 합니다.

참고로 5월 종합소득세 납부자나

사업소득자분들도 세금을 일시에 낼 것을 고려하여

세금통장을 하나 만들어둔다고 합니다.

⑦소득공제신고서 출력

국세청 간소화자료는 1월 15일에 오픈되었지만,

1월 20일에 확정되기 때문에 정확한 연말정산은 1월 20일

간소화자료를 넣어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저도 연말정산 가계산을 한 것이고,

추후 더 정확한 급여정보와 소득공제신고서를 작성하여

확정하고 회사에 제출할 생각입니다.

연말정산 환급금 지급일은 언제?

연말정산환급금 지급일?

빠르면 2월 월급에 함께 지급되거나

3월 월급에 함께 반영되어 지급 됨

직장인 연말정산 환급금의 지급일은 확정일자가 딱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국세상담센터(연말정산환급금 지급일은?)

국세상담센터에 따르면

환급은 회사에서 연말정산에 대한 자료를 국세청으로 제출한 후

회사로 환급받아 근로자에게 돌려주는 방식으로 처리된다고합니다.

연말정산환급금은 보통 회사 사정에 따라 다르겠지만!

빠르면 2월 월급에 함께 지급되거나

3월 월급에 함께 반영되어 지급되고 있습니다.

(사정에 따라 늦어도 4월 이내에 지급)

연말정산환급금 언제왔었나 찾아보니

저는 작년 2월에 저는 회사로부터 월급하고

연말정산 환급금을 월급날에 입금받았습니다.

(어여 연말정산 환급일이 다가왔으면~)

토스 입금내역 : 저희회사는 23년 2월 연말정산 입금되더라구요

이상, 직장인 개인연말정산후기를 마칩니다.

연말정산해서 13월의 월급 받기를 기원합니다!!

https://blog.naver.com/gyujin0917/223729842594

자료 : 홈택스, 국세청, 국세상담센터 홈페이지 참고,

EPAYROLL홈페이지 참고

 

 

위 내용은 별별의 개인적인 분석이므로 참고용으로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웃추가, 공감도 부탁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