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5일 간소화 서비스 개통
최종 확정된 간소화 자료는 1월 20일부터 제공!!!
벌써 2025년 1월 연말정산 시즌이 돌아왔습니다!
국세청에서는 2025년 1월 15일
개편된 간소화 서비스를 오픈합니다.

자료 : 국세청 보도자료(25.1.15)
1월 15일부터 홈택스 간소화자료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연말정산을 할 수 있게 됩니다.

홈택스 홈페이지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란
국세청이 간소화자료를 회사에 직접제공하는 것입니다.
(*단 근로자가 '동의'절차를 거쳐야 자료가 제공 됨)
근로자가 회사시스템에서 손 쉽게 연말정산이 가능하도록하여
직접 세무서에 방문할 필요가 없어지는 서비스입니다.
(아래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참고)
아직 간소화 서비스 자료의 불안정성이 높아
소득공제나 세액공제 요건 충족 여부를 검증하는 기능이 없었습니다.
따라서 국세청 간소화 서비스를 제공받자 마자
검증 없이 바로 연말정산을 할 경우
과다공제되어 추후 최대 40%의 가산세를 물거나
추가 신고를 하게 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연말정산 많은 실수 중에 하나가
부양가족을 잘못 공제하는 사례라고 합니다.
간소화서비스 자료를 받고 바로 연말정산 하지말고,
공제를 받을 때 부양가족의 연간소득금액 100만원(총급여 500만원)을
초과하는지 꼭 체크해야 합니다.
다음은 국세청에서 공개한 과다공제 사례입니다.
그래서 국세청에서도 과다공제 사례를 예방하기 위해
소득기준 초과 여부를 꼭 확인하라고 안내 팝업을 띄운다고 합니다.

국세청 보도자료(25.1.15)
그리고 공제대상이 아닌 부양가족의
간소화 자료는 미제공한다고 하네요.

국세청 보도자료(25.1.15)
최종 확정된 간소화 자료는 1월 20일부터 제공되오니
꼭 추가,수정된 자료를 반영한 간소화자료로
정확한 연말정산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국세청 보도자료(25.1.15)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에서 자료가 조회되지 않는 이유"
-부양가족이 인적공제 대상이 아닌 경우
-자료 제공 동의가 되어 있지 않은 부양가족의 자료
-연금 등 본인만 공제대상인 항목은 부양가족 자료 없음
-본인이 홈택스에서 자료를 삭제 신청한 경우
-자료제출기관에서 자료를 누락하거나 잘못 제출한 경우

연말정산 연간소득금액100만원 정리
연간 소득금액이 100만원 이하여야 하며,
근로소득만 있다면 총급여 500만원 이하여야 합니다.
부양가족 공제를 받으려면
연간 소득금액이 100만원 이하여야 하며,
근로소득만 있다면 총급여 500만원 이하여야 합니다.
여기서 연간소득금액은
종합소득, 퇴직소득, 양도소득의 소득금액을 합하여 계산하게 되는데요.
국세상담센터 자료와 국세청 자료를 참고하여
연간소득금액100만원 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이자소득2천만원 & 배당소득 2천만원
-배우자가 이자소득만 1,900만원 있는 경우
-> 원천징수된 이자소득 배당소득 합계액 2천만원 이하는 분리 과세라서
연간소득금액 계산시 비과세, 분리과세소득은 제외 판단
-금융소득(이자,배당 소득)이 2천만원 이하면
배우자 기본공제 가능
-이자소득 배당소득이 2천만원을 초과하여
종합소득 과세표준 확정신고 대상자인 부양가족은 기본공제 불가능.

국세청 2024년 귀속 공제 계산사례 -금융소득 2천만원
사업소득금액 100만원
-배우자가 11월에 사업자 폐업하였더라도
사업소득금액이 100만원 이하인 경우 배우자 기본공제 가능

국세청 2024년 귀속 공제 계산사례-사업소득 100만원
-아내가 프리랜서로 일하면서 3.3%원천징수 받은 사업소득이 있더라도
사업소득금액이 100만원 이하라면 배우자 기본공제 가능
-부모님이 비과세되는 주택임대소득만 있는 경우에도
기본공제 대상 가능

국세상담센터- 연간소득금액 사업소득금액 100만원
근로소득금액(총급여 500만원 이하)
-근로소득만 있는 경우 총급여액이 5백만원 이하라면 배우자 공제 가능

국세상담센터- 연간소득금액 근로소득 5백만원 이하 의미
-일용근로소득은 분리과세소득이므로,
분리과세소득은 연간소득금액 100만원에 포함되지 않음
따라서 일용근로자인 배우자는 소득의 크기와 상관없이 배우자 기본공제 가능

국세청 2024년 귀속 공제 계산사례 - 연간소득금액 총급여 500만원 의미
-근로소득 외 다른소득이 있는 경우
총급여액 3,333,333원을 초과하면 근로소득 100만원을 초과하게 되어
무조건 기본공제가 되지 않음

국세청 2024년 귀속 공제 계산사례 - 연간소득금액 총급여 500만원 의미
-배우자가 주택임대소득 200만원, 총급여액 200만원이 있다면?
-> 주택임대수입금액을 분리과세로 신고 시,
분리과세소득은 제외하여 판단하여 배우자 공제 적용이 가능

국세청 2024년 귀속 공제 계산사례 - 연간소득금액 총급여 500만원 의미
기타소득금액 100만원
-대학생 배우자가 연구용역비 2백만원을 받았으면
기타소득 과세대상.
하지만 기타소득금액이라 함은
기타소득금액=기타소득 수입금액-필요경비로 계산하게 되어
200만원-200만원*60%(필요경비율)=80만원으로
기타소득금액이 100만원 이하라 배우자 기본공제 가능

국세청 2024년 귀속 공제 계산사례 - 연간소득금액 기타소득 100만원
-대학생 연구자가 만약 연구용역비 5백만원을 받았다면,
500만원-500만원*60%=200만원의 기타소득금액 발생
기타소득금액 연간 합계금액이 3백만원 이하라면,
원천징수소득은 분리과세/종합과세를 거주자가 선택 가능
종합과세를 선택하여 종합소득세를 신고하게 되면,
기타소득금액 200만원은 기본공제 불가능하고,
배우자가 분리과세를 선택하면 분리과세 소득을 제외하므로
소득요건을 충족하게 됨

국세상담센터- 연간소득금액 기타소득금액 100만원
연금소득금액 100만원
-공적연금소득의 총 연금액(비과세소득 제외)이
연 5,166,666원(연금소득 100만원) 초과한 부양가족은 기본공제 불가능
연금소득금액 = 총연금액(과세제외분 제외)- 연금소득공제
(*연금수령액 5,166,667원-연금소득공제 4,166,667원=연금소득금액 100만원)
어머니가 국민연금으로 연 500만원 받고 있고,
다른소득이 없다면 연금수령액이 연 5,166,667원 이하라면
기본공제 받을 수 있음
만약, 아버지, 어머니가 국민연금으로 연 5,166,667원 초과로
받고 있다면 기본공제 받을 수 없음
-유족연금, 장애연금, 장해연금, 상이연금, 연계노령유족연금은
비과세소득에 해당되어 타 소득이 없다면 기본공제 가능

국세상담센터- 연간소득금액 연금소득금액 100만원
-어머니가 기초생활수급을 받고 있으면
기초생활수급금 및 기초연금은 과세대상이 아니라서
타 소득없이 기초생활수급금만 받는다면 기본공제 가능
-사적연금소득(연금저축, 퇴직연금 등) 총 연금액이
연 1,500만원 초과(종합소득 합산과세 선택)한 부양가족은 기본공제 불가능

국세청 2024년 귀속 공제 계산사례-연금소득금액 100만원 기준
어머니가 은행의 연금저축계좌에 가입해서
연 700만원을 받고 있다면 종합과세 선택시 기본공제 안됨
(700만원-연금소득공제 490만원=210만원)
사적연금 수령액 1,500만원 이하인 경우 분리과세 및 종합과세 선택이 가능.

국세상담센터- 연간소득금액 연금소득금액 100만원
분리과세를 선택한 경우 연간소득금액 계산 시,
분리과세소득은 제외되어 기본공제 가능.
퇴직소득금액 100만원
-퇴직소득금액 100만원 초과한 부양가족은 기본공제 불가능

국세청 2024년 귀속 공제 계산사례-퇴직소득금액 100만원 기준
-배우자가 2월에 퇴사했는데 2월까지 급여 2백만원, 퇴직금 총액이 2백만원이라면?
-> 퇴직금의 경우 퇴직금 전액을 소득금액으로 보기 때문에
퇴직금액이 100만원 초과한다면 배우자 기본공제 받을 수 없음
-배우자가 1월에 퇴사했는데 1월까지 급여 50만원, 퇴직금 총액 50만원이라면?
-> 연도중에 퇴사했다면 근로소득과 퇴직소득을 합산하여 소득금액 100만원 이하라면 가능
*근로소득금액 =총급여액-근로소득공제
=50만원-50만원*70%=15만원
*퇴직소득금액=퇴직금총액=50만원
양도소득금액 100만원
-양도소득금액 100만원을 초과하는 부양가족은 기본공제 불가능

국세청 2024년 귀속 공제 계산사례-양도소득금액 100만원 기준
배우자가 상가 건물을 양도하고 양도소득이 있다면,
양도소득이 100만원 이하여야 배우자 기본공제 가능
*양도소득금액=양도가액-필요경비-장기보유특별공제로 계산됨
연간소득금액 100만원 기준 잘 확인하여
정확한 연말정산하시길 바랍니다.
올해 연말정산 파이팅입니다!
자료 : 국세청 보도자료, 국세상담센터 참고
위 내용은 별별의 개인적인 분석이므로 참고용으로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웃추가, 공감도 부탁드립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거래대금 확인 및 거래량 의미 뜻 정리 (0) | 2025.01.18 |
---|---|
연말정산 인적공제기본공제 소득과 20세 60세 나이 배우자(아내)와 부양가족 조카 며느리 기준 (0) | 2025.01.18 |
390만원 예상 환급금! 직장인연말정산방법과 환급일은 언제? (0) | 2025.01.18 |
악역전담가 악마의변호사(devil's advocate) 변호인 No Man 노맨 (0) | 2025.01.17 |
정당기부금 10만원하면 직장인은 전부 세액공제되요 정치자금 기부금 (0) | 2025.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