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647 귀인이론(Attribution Theory) - 타인의 행동에 원인을 추론 안녕하세요~별별입니다.오늘은 상대방을 지각 하고 판단하는 귀인이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귀인이론(Attribution Theory)우리가 타인의 행동의 원인을 보고 타인에 대한 지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설명하려는 이론.하이더가 처음 귀인이론을 말하고, 이후에 켈리가 좀 더 이론을 정리하였습니다.우리가 타인을 볼 때 보는 정보는 제한적입니다.관찰자가 외부의 제한적 정보만을 가지고 타인의 내적인 상태를 판단하고 추리합니다.상대방의 행동의 원인은 내적귀인과 외적귀인으로 나뉩니다.1) 내적귀인행동이 전적으로 그 개인의 통제 하에 있는 요인에 의해 일어났다고 판단하는 것즉, 원인이 그 개인한테 있다.보통 의도, 능력, 성격 등을 원인으로 봅니다.2) 외적귀인행동이 그 개인의 외부에 있.. 2024. 7. 21. 고전적 조건화 / 조작적 조건화 - 학습이론 안녕하세요~별별입니다.학습(Learning)이란 경험이나 연습의 결과로 발생되는 비교적 지속적인 변화이며,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이라고 합니다.이런 학습을 설명하는 이론을 학습이론이라고 하는데요.경영학의 조직행동론이나 교육심리학에서 자주 쓰이는 이론입니다.대표적으로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화와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가 있습니다.고전적 조건화(Classical Conditioning) - 파빌로프고전적 조건화 보통 파빌로프의 개의 종소리 실험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S - R 이론이라고도 알려져 있습니다.자극(S)과 반응(R) 을 이용하여 상이한 자극에 대해 반응을 학습하게 한 유명한 실험입니다.이론적으로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1) 조건이 형성되기 전 종소리 (중성자극) -> 침을 .. 2024. 7. 21. 지각(Perception) / 지각과정 의미 안녕하세요~별별입니다.오늘은 지각과 지각의 과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지각(Perception)직장에서 보통 상사의 지시를 받아도 그것을 받아들이는 사람이 있는 반면, 받아들이지 못하는 사람이 있습니다.이는 각 개인마다 '지각'하는 것이 다르기 때문입니다.환경과 개인을 일차적으로 연결시키는 다리역할을 하는 과정을 지각(Perception)이라고 합니다.지각은 감각기관을 통해 외부의 사물을 인지하고 그에 대한 반응의 의미로 볼 수 있습니다. 지각은 크게 두 가지 단계로 이루어 집니다.첫째는 대상에 대한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둘째는 받아들인 정보를 서로 연결하여 해석하는 것.대상이 사물이 아니라 인간이라면 해석하는데 오해가 이루어지기 쉽상입니다.사람의 행동과 성과를 어떻게 지각할 것이고,.. 2024. 7. 21. 지각의 오류 / 지각과정에서의 오류 안녕하세요~별별입니다.저번에 지각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지각(Perception) / 지각과정 의미안녕하세요~별별입니다.오늘은 지각과 지각의 과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지각(Perception)...blog.naver.com 지각하는데 있어 오류가 있을수 있습니다.평소 많이 들어본 오류일텐데 한 번 정리해 보겠습니다.지각의 오류 1)지각적 방어(Perception defense)개인에게 위협이나 불쾌함을 주는 자극에 대해 담을 쌓거나 인식을 거부해 방어하는 것.Ex) 보고싶지 않는 것을 아예 외면해 버리는 것.2)상동적 태도(Stereotyping)사람에 대한 경직적 편견을 가지는 것으로, 그가 속한 사회적 집단에 대한 지각을 기초로 평가하는 오류Ex)경영자 입장에서 "그는.. 2024. 7. 21. 이전 1 ··· 134 135 136 137 138 139 140 ··· 16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