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별별입니다.
포스팅하다 보면
평소 문장부호 맞춤법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었는데
이번 기회에 찾아서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kgWoL/btsLPQj5zpF/pS2FZYfqPWXYJ4IDaWldmk/img.png)
#문장부호맞춤법정리
#문장부호띄어쓰기
#쉼표 #가운뎃점 #쌍점 #빗금
#큰따옴표 #작은따옴표
한글 맞춤법 (문장부호) -쉼표(,)
쉼표의 띄어쓰기: 쉼표는 앞말에 붙여 쓴다.
쉼표는 같은 자격의 어구를 열거할 때 그 사이에 쓴다.
![](https://blog.kakaocdn.net/dn/Edabt/btsLPtW7Zzl/ApxuwvD67pF942XLbw8atK/img.png)
자료 : 국립국어원
단, 쉼표 없이도 열거되는 사항임이 쉽게 드러날 때는
쉼표를 쓰지 않을 수 있다.
우리나라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의 구분이 뚜렷하다.
![](https://blog.kakaocdn.net/dn/bVJr8H/btsLP4Jkuxj/99xYtGyRdYqRsohMdO7QI1/img.png)
자료 : 국립국어원
열거할 어구들을 생략할 때
사용하는 줄임표 앞에는 쉼표를 쓰지 않는다.
![](https://blog.kakaocdn.net/dn/oNaFu/btsLQSabryU/p66U0OVLGI1RBj6RywlQC0/img.png)
자료 : 국립국어원
짝을 지어 구별할 때 쉼표를 쓴다.
![](https://blog.kakaocdn.net/dn/0Lc4o/btsLP7MKT3G/59nekfxdeKI5BdloL5auN1/img.png)
자료 : 국립국어원
이웃하는 수를 개략적으로 나타낼 때 쓴다.
![](https://blog.kakaocdn.net/dn/o50qR/btsLQT728RM/2uFYm1MbDgjGsHPIN6ojq1/img.png)
자료 : 국립국어원
열거의 순서를 나타내는 어구 다음에 쓴다.
여러 가지 내용을 열거할 때 사용하는
첫째, 먼저, 다음으로, 마지막으로 등과 같은 어구 다음에는 쉼표를 쓴다.
그리고, 그러나, 그런데, 그러므로 등과 같은 접속 부사의 뒤에서는
쉼표를 쓰지 않는 것이 자연스럽다.
=>글쓴이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면 접속 부사의 뒤에서도 쉼표를 쓸 수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DYRTr/btsLQA1ZzEf/knTVFPzZWKmVayyLTCoNW0/img.png)
자료 : 국립국어원
문장의 연결 관계를 분명히 하고자 할 때
절과 절 사이에 쓴다.
(다만, 문장의 연결 관계가 쉼표 없이도 분명히 드러나면 쉼표를 쓰지 않아도 됨)
ex)발표회가 끝나면 바로 회사로 돌아가야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NzAdD/btsLPrStlbe/flhLhgIhwfZx5fuxYs1T50/img.png)
자료 : 국립국어원
쉼표는 같은 말이
되풀이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일정한 부분을 줄여서 열거할 때 쓴다.
ex) 빨간색을 선택한 분들은 오른쪽으로, 파란색을 선택한 분들은 왼쪽으로 가주세요.
![](https://blog.kakaocdn.net/dn/Vx7Vx/btsLQQQ2dFl/lmdB78zG61epPKkBnqZYfK/img.png)
자료 : 국립국어원
쉼표는 부르거나 대답하는 말 뒤에 쓴다.
ex) 아가, 이리 좀 와 봐라
![](https://blog.kakaocdn.net/dn/cb4ViQ/btsLPClWCAe/HzmmsE83TMER0I3KPDKl3k/img.png)
자료 : 국립국어원
쉼표는 한 문장 안에서
앞말을 곧, 다시말해 등과 같은 어구로
다시 설명할 때 앞말 다음에 쓴다.
(*문장 첫머리에 곧, 즉, 다시 말해, 이를테면 등과 같은 어구가 나올 때
그 뒤에 쉼표를 쓸 것인지 말 것인지는 글쓴이가 임의로 판단해서 정할 수 있음)
![](https://blog.kakaocdn.net/dn/b9gzDV/btsLPlLJ8vY/v13jFX8FIUPNjUM1ktutx1/img.png)
자료 : 국립국어원
쉼표는 한 문장에 같은 의미의 어구가 반복될 때
앞에 오는 어구 다음에 쓴다.
![](https://blog.kakaocdn.net/dn/Viw13/btsLRhm725v/W5TkNIjMkOky6HXYwBuXqK/img.png)
자료 : 국립국어원
도치문에서 도치된 어구들 사이에 쓴다.
![](https://blog.kakaocdn.net/dn/kyTDD/btsLPA2IK0N/jBdoiOOaimsqxrfBTylVm0/img.png)
자료 : 국립국어원
바로 다음 말과 직접적인 관계에 있지 않음을 나타낼 때 쓴다.
![](https://blog.kakaocdn.net/dn/0PJD9/btsLOYQJGY5/ny8DmyVEja4WCrjl4txZS0/img.png)
자료 : 국립국어원
쉼표는 문장 중간에 끼어든 어구의 앞뒤에 쓴다.
![](https://blog.kakaocdn.net/dn/cpjktj/btsLQCS4l0d/IK2oQO1KQuDbV6NYYjehqk/img.png)
자료 : 국립국어원
쉼표는 특별한 효과를 위해 끊어 읽는 곳을 나타낼 때 쓴다.
![](https://blog.kakaocdn.net/dn/oonzb/btsLPm4Wh1U/yhOOorxO7D9HtvlkpFUdHk/img.png)
자료 : 국립국어원
쉼표는 짧게 더듬는 말을 표시할 때 쓴다.
![](https://blog.kakaocdn.net/dn/bt8bdZ/btsLQqZDAON/5YKUQ0OK9UDLLcKsjbY8t0/img.png)
자료 : 국립국어원
그리고 쉼표 대신에
'반점'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한글 맞춤법 (문장부호) -가운뎃점(·)
가운뎃점의 띄어쓰기: 가운뎃점은 앞말과 뒷말에 붙여 쓴다.
가운뎃점은 열거할 어구들을 일정한 기준으로
묶어서 나타낼 때 쓴다.
(*일정한 기준에 따라 묶어서 나타낼 때 묶음 사이에는 쉼표를,
같은 묶음 속에 속한 어구들 사이에는 가운뎃점을 쓴다.)
![](https://blog.kakaocdn.net/dn/bgRehO/btsLQSnHHdU/kp4boWZTbgZ0gaMYhb4rEK/img.png)
자료 : 국립국어원
가운뎃점은 짝을 이루는 어구들 사이에 쓴다.
![](https://blog.kakaocdn.net/dn/d0fmF5/btsLQQ4wiE7/Kgq2A8VGvMDSkHjmMFy4gk/img.png)
자료 : 국립국어원
다만, 가운뎃점을 쓰지 않고 쉼표를 쓸 수도 있음
![](https://blog.kakaocdn.net/dn/czKbUA/btsLQ4Ib9XU/5cxLBxM8BZ7rMnrwNxQMI1/img.png)
자료 : 국립국어원
가운뎃점은 공통 성분을 줄여서 하나의 어구로 묶을 때 쓴다.
![](https://blog.kakaocdn.net/dn/ToaET/btsLPlyciUr/fKsbf1aWeiHIAgpOcK6gak/img.png)
자료 : 국립국어원
가운뎃점 대신 쉼표를 쓸 수도 있음
![](https://blog.kakaocdn.net/dn/wyyX3/btsLPBHnbGX/fuD4hFrTM11NRTooV1IPH0/img.png)
자료 : 국립국어원
한글 맞춤법 (문장부호) -쌍점(:)
쌍점의 띄어쓰기: 쌍점은 앞말에 붙여 쓰고 뒷말과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다.
다만, 시와 분, 장과 절 등을 구별할 때와 의존명사 '대'가 쓰일 자리에서는 예외!
쌍점(:)은 표제 다음에 항목을 들거나 설명을 붙일 때
앞은 붙여 쓰고 뒤는 띄어씁니다.
![](https://blog.kakaocdn.net/dn/5qKYg/btsLPOUcSfQ/vPAf4PL81YvwO8Km3Poqn1/img.png)
자료 : 국립국어연구원
![](https://blog.kakaocdn.net/dn/cz3tih/btsLO0AZzis/VOW4xleqkbLshOjg91ZsW0/img.png)
자료 : 국립국어연구원
쌍점(:)은 희곡 등에서 대화 내용을 제시할 때
말하는 이와 말한 내용 사이에 쓴다.
(등장인물 이름과 대화 내용 사이에 쌍점을 쓴다.)
![](https://blog.kakaocdn.net/dn/cs6LX8/btsLP52t48I/v8UFHqYszvsXEMKYBNRkkk/img.png)
자료 : 국립국어연구원
쌍점은 시와 분, 장과 절 등을 구별할 때 쓴다.
![](https://blog.kakaocdn.net/dn/vERHe/btsLRpk5Aqr/3sdGzDMORGzlmJKKFWxlXk/img.png)
자료 : 국립국어연구원
시ㆍ분ㆍ초, 권ㆍ장ㆍ절, 조ㆍ항ㆍ호 등을 구별할 때 쌍점을 쓴다.
해 뜨는 시각 7:10:54(7시 10분 54초)
요한복음 3:16(3장 16절)
「국어기본법」 14:1(제14조 제1항)
다만, 쌍점(:)은
사분초(시간), 권장절(글의 내용 구분 단위),
항,호(법률 항목의 단위) 등을 구분할 때는 앞 뒤를 붙여씁니다.
의존 명사 '대'가 쓰일 자리에 쓴다.
![](https://blog.kakaocdn.net/dn/dH4KuM/btsLQ7kEX3g/GPMQeNgiKjAKgifS6cgnYK/img.png)
자료 : 국립국어연구원
쌍점 띄어쓰기는
의존명사 '대' 대신 쌍점을 쓸 때 붙여씁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xK7VP/btsLPtCNE0G/zIIH5NYLK2tn8TCn6QVOrK/img.png)
자료 : 국립국어연구원
한글 맞춤법 (문장부호) -빗금(/)
빗금 띄어쓰기는 앞말과 뒷말에 붙여쓰는 것이 원칙, 띄어 쓰는 것도 허용
![](https://blog.kakaocdn.net/dn/Z6OA6/btsLPy46wEA/pFmvbbj7Y3jbtnr7ybnczK/img.png)
자료 : 국립국어연구원
빗금은 대비되는 두 개 이상의 어구를
묶어 나타낼 때 그 사이에 쓴다.
(*굳이 대비해서 보일 필요가 없을 때에는 쉼표를 써도 된다.)
물/불/풀/뿔
반짝이다/반짝거리다/반짝반짝하다
![](https://blog.kakaocdn.net/dn/Wm0Vy/btsLQ5tBby7/gwxhPrgpyi0AHI8y8pKgE1/img.png)
자료 : 국립국어원
빗금(/)은 기준 단위당 수량을 표시할 때
해당 수량과 기준 단위 사이에 쓴다.
놀이공원 입장료는 4,000원/명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Z3rG5/btsLPEjME4v/MN8bqbMKADRMmEOZcUzKtk/img.png)
자료 : 국립국어원
![](https://blog.kakaocdn.net/dn/d0ZfqA/btsLRmIERa2/LLVamBabRSNZjqnNKsBQ40/img.png)
빗금 띄어쓰기
원칙은 /(빗금)은 붙여쓰기가 원칙
다만, 어구가 두 어절 이상 인 경우에는
빗금의 앞뒤를 띄어쓸 수 있음
단, 시의 행이 바뀌는 부분임을 나타낼 때,
연이 바뀌는 부분을 나타낼 때는 두 번 겹쳐 씀
![](https://blog.kakaocdn.net/dn/c1tp3m/btsLQ7rqtFA/90E7yxTbXxgDrK1dcmAmiK/img.png)
자료 : 국립국어연구원
빗금을 앞말과 뒷말에 붙여 쓰게 되면 대비되는 내용이 불분명해질 수 있기 때문에
띄어쓰는 것도 허용
문과 대학 / 이과 대학 / 예술 대학
한글 맞춤법 (문장부호) -큰 따옴표("")
큰따옴표 띄어쓰기: 여는 큰따옴표는 뒷말에 붙여 쓰고, 닫는 큰따옴표는 앞말에 붙여 쓴다.
큰 따옴표는 글 가운데서 직접 대화를 표시할 때 쓴다.
(*희곡처럼 전체가 대사로 이루어진 글에서는 큰 따옴표를 쓰지 않는다.)
![](https://blog.kakaocdn.net/dn/w1AMk/btsLPBtOqGu/kKDbdgI6XU8RNXKHKCUBJ1/img.png)
자료 : 국립국어원
큰 따옴표는 말이나 글을 직접 인용할 때 쓴다.
(*인용한 말이 혼잣말인 경우에도 큰 따옴표를 쓴다.)
![](https://blog.kakaocdn.net/dn/pcKCJ/btsLPjG9LGB/AJfQFYT96ijXL9eKLyUutK/img.png)
자료 : 국립국어원
문장 안에서 책의 제목이나 신문 이름 등을 나타낼 때에도
큰 따옴표를 쓸 수 있음
인용한 말이나 글이 문장 형식이 아니더라도 큰 따옴표를 쓴다.
ex) 푯말에는 "출입 금지 구역"이라고 쓰여 있었다.
한글 맞춤법 (문장부호) -작은따옴표(' ' )
작은따옴표 띄어쓰기: 여는 작은따옴표는 뒷말에 붙여 쓰고, 닫는 작은따옴표는 앞말에 붙여 쓴다.
작은따옴표는 인용한 말 안에 있는
인용한 말을 나타낼 때 쓴다.
(바깥쪽의 큰 따옴표와 중복이기 때문에 작은 따옴표를 씀)
![](https://blog.kakaocdn.net/dn/kx5HU/btsLPmqiWPE/hb5kOosABUKFcy1VAISKNK/img.png)
자료 : 국립국어원
만약, 인용한 말이 마음속으로 한 말임을 나타낼 때는
작은따옴표를 쓴다.
ex) '처음에만 열심히 하는 척하다가 결국에는 그만두겠지'하고 생각했어요.
문장 내용 중에서 주의가 미쳐야할 곳이나,
중요한 부분을 특별히 드러내 보일 때에도 작은 따옴표를 쓸 수 있음
이상, 문장부호(쉼표, 가운뎃점, 쌍점, 빗금, 큰따옴표, 작은따옴표) 맞춤법 및
띄어쓰기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보험 줄일 수 있는 프리랜서 해촉증명서 뜻 의미 (1) | 2025.01.17 |
---|---|
인적공제 추가공제 만70세 나이 경로우대자 한부모 장애인 부녀자 (0) | 2025.01.17 |
연말정산 신용카드소득공제 한도 정리! 계산 체크카드 (0) | 2025.01.14 |
이제 실물 신분증 없이 폰에 모바일 주민등록증 넣고 다닐 수 있어요 (0) | 2025.01.14 |
의료비세액공제 계산 방법 정리 안경 렌즈 성형수술 약국 (0) | 2025.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