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한글 맞춤법 문장부호(쉼표 가운뎃점 쌍점 빗금 큰따옴표 작은따옴표) 띄어쓰기 정리 ft국립국어원

by 별별의 경제적 자유 이야기 2025. 1. 17.
반응형

안녕하세요

별별입니다.

포스팅하다 보면

평소 문장부호 맞춤법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었는데

이번 기회에 찾아서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문장부호맞춤법정리

#문장부호띄어쓰기

#쉼표 #가운뎃점 #쌍점 #빗금

#큰따옴표 #작은따옴표

한글 맞춤법 (문장부호) -쉼표(,)

쉼표의 띄어쓰기: 쉼표는 앞말에 붙여 쓴다.

쉼표는 같은 자격의 어구를 열거할 때 그 사이에 쓴다.

자료 : 국립국어원

단, 쉼표 없이도 열거되는 사항임이 쉽게 드러날 때는

쉼표를 쓰지 않을 수 있다.

우리나라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의 구분이 뚜렷하다.

자료 : 국립국어원

열거할 어구들을 생략할 때

사용하는 줄임표 앞에는 쉼표를 쓰지 않는다.

자료 : 국립국어원

짝을 지어 구별할 때 쉼표를 쓴다.

자료 : 국립국어원

이웃하는 수를 개략적으로 나타낼 때 쓴다.

자료 : 국립국어원

열거의 순서를 나타내는 어구 다음에 쓴다.

여러 가지 내용을 열거할 때 사용하는

첫째, 먼저, 다음으로, 마지막으로 등과 같은 어구 다음에는 쉼표를 쓴다.

그리고, 그러나, 그런데, 그러므로 등과 같은 접속 부사의 뒤에서는

쉼표를 쓰지 않는 것이 자연스럽다.

=>글쓴이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면 접속 부사의 뒤에서도 쉼표를 쓸 수 있다.

자료 : 국립국어원

문장의 연결 관계를 분명히 하고자 할 때

절과 절 사이에 쓴다.

(다만, 문장의 연결 관계가 쉼표 없이도 분명히 드러나면 쉼표를 쓰지 않아도 됨)

ex)발표회가 끝나면 바로 회사로 돌아가야 합니다.

자료 : 국립국어원

쉼표는 같은 말이

되풀이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일정한 부분을 줄여서 열거할 때 쓴다.

ex) 빨간색을 선택한 분들은 오른쪽으로, 파란색을 선택한 분들은 왼쪽으로 가주세요.

자료 : 국립국어원

쉼표는 부르거나 대답하는 말 뒤에 쓴다.

ex) 아가, 이리 좀 와 봐라

자료 : 국립국어원

쉼표는 한 문장 안에서

앞말을 곧, 다시말해 등과 같은 어구로

다시 설명할 때 앞말 다음에 쓴다.

(*문장 첫머리에 곧, 즉, 다시 말해, 이를테면 등과 같은 어구가 나올 때

그 뒤에 쉼표를 쓸 것인지 말 것인지는 글쓴이가 임의로 판단해서 정할 수 있음)

자료 : 국립국어원

쉼표는 한 문장에 같은 의미의 어구가 반복될 때

앞에 오는 어구 다음에 쓴다.

자료 : 국립국어원

도치문에서 도치된 어구들 사이에 쓴다.

자료 : 국립국어원

바로 다음 말과 직접적인 관계에 있지 않음을 나타낼 때 쓴다.

 

자료 : 국립국어원

쉼표는 문장 중간에 끼어든 어구의 앞뒤에 쓴다.

자료 : 국립국어원

쉼표는 특별한 효과를 위해 끊어 읽는 곳을 나타낼 때 쓴다.

자료 : 국립국어원

쉼표는 짧게 더듬는 말을 표시할 때 쓴다.

자료 : 국립국어원

그리고 쉼표 대신에

'반점'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한글 맞춤법 (문장부호) -가운뎃점(·)

가운뎃점의 띄어쓰기: 가운뎃점은 앞말과 뒷말에 붙여 쓴다.

가운뎃점은 열거할 어구들을 일정한 기준으로

묶어서 나타낼 때 쓴다.

(*일정한 기준에 따라 묶어서 나타낼 때 묶음 사이에는 쉼표를,

같은 묶음 속에 속한 어구들 사이에는 가운뎃점을 쓴다.)

자료 : 국립국어원

가운뎃점은 짝을 이루는 어구들 사이에 쓴다.

자료 : 국립국어원

다만, 가운뎃점을 쓰지 않고 쉼표를 쓸 수도 있음

자료 : 국립국어원

가운뎃점은 공통 성분을 줄여서 하나의 어구로 묶을 때 쓴다.

자료 : 국립국어원

가운뎃점 대신 쉼표를 쓸 수도 있음

자료 : 국립국어원

한글 맞춤법 (문장부호) -쌍점(:)

쌍점의 띄어쓰기: 쌍점은 앞말에 붙여 쓰고 뒷말과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다.

다만, 시와 분, 장과 절 등을 구별할 때와 의존명사 '대'가 쓰일 자리에서는 예외!

쌍점(:)은 표제 다음에 항목을 들거나 설명을 붙일 때

앞은 붙여 쓰고 뒤는 띄어씁니다.

자료 : 국립국어연구원

자료 : 국립국어연구원

쌍점(:)은 희곡 등에서 대화 내용을 제시할 때

말하는 이와 말한 내용 사이에 쓴다.

(등장인물 이름과 대화 내용 사이에 쌍점을 쓴다.)

자료 : 국립국어연구원

쌍점은 시와 분, 장과 절 등을 구별할 때 쓴다.

자료 : 국립국어연구원

시ㆍ분ㆍ초, 권ㆍ장ㆍ절, 조ㆍ항ㆍ호 등을 구별할 때 쌍점을 쓴다.

해 뜨는 시각 7:10:54(7시 10분 54초)

요한복음 3:16(3장 16절)

「국어기본법」 14:1(제14조 제1항)

다만, 쌍점(:)은

사분초(시간), 권장절(글의 내용 구분 단위),

항,호(법률 항목의 단위) 등을 구분할 때는 앞 뒤를 붙여씁니다.

의존 명사 '대'가 쓰일 자리에 쓴다.

자료 : 국립국어연구원

쌍점 띄어쓰기는

의존명사 '대' 대신 쌍점을 쓸 때 붙여씁니다.

 

자료 : 국립국어연구원

한글 맞춤법 (문장부호) -빗금(/)

빗금 띄어쓰기는 앞말과 뒷말에 붙여쓰는 것이 원칙, 띄어 쓰는 것도 허용

자료 : 국립국어연구원

빗금은 대비되는 두 개 이상의 어구를

묶어 나타낼 때 그 사이에 쓴다.

(*굳이 대비해서 보일 필요가 없을 때에는 쉼표를 써도 된다.)

물/불/풀/뿔

반짝이다/반짝거리다/반짝반짝하다

자료 : 국립국어원

빗금(/)은 기준 단위당 수량을 표시할 때

해당 수량과 기준 단위 사이에 쓴다.

놀이공원 입장료는 4,000원/명이다.

자료 : 국립국어원

빗금 띄어쓰기

원칙은 /(빗금)은 붙여쓰기가 원칙

다만, 어구가 두 어절 이상 인 경우에는

빗금의 앞뒤를 띄어쓸 수 있음

단, 시의 행이 바뀌는 부분임을 나타낼 때,

연이 바뀌는 부분을 나타낼 때는 두 번 겹쳐 씀

자료 : 국립국어연구원

빗금을 앞말과 뒷말에 붙여 쓰게 되면 대비되는 내용이 불분명해질 수 있기 때문에

띄어쓰는 것도 허용

문과 대학 / 이과 대학 / 예술 대학

한글 맞춤법 (문장부호) -큰 따옴표("")

큰따옴표 띄어쓰기: 여는 큰따옴표는 뒷말에 붙여 쓰고, 닫는 큰따옴표는 앞말에 붙여 쓴다.

큰 따옴표는 글 가운데서 직접 대화를 표시할 때 쓴다.

(*희곡처럼 전체가 대사로 이루어진 글에서는 큰 따옴표를 쓰지 않는다.)

자료 : 국립국어원

큰 따옴표는 말이나 글을 직접 인용할 때 쓴다.

(*인용한 말이 혼잣말인 경우에도 큰 따옴표를 쓴다.)

자료 : 국립국어원

문장 안에서 책의 제목이나 신문 이름 등을 나타낼 때에도

큰 따옴표를 쓸 수 있음

인용한 말이나 글이 문장 형식이 아니더라도 큰 따옴표를 쓴다.

ex) 푯말에는 "출입 금지 구역"이라고 쓰여 있었다.

한글 맞춤법 (문장부호) -작은따옴표(' ' )

작은따옴표 띄어쓰기: 여는 작은따옴표는 뒷말에 붙여 쓰고, 닫는 작은따옴표는 앞말에 붙여 쓴다.

작은따옴표는 인용한 말 안에 있는

인용한 말을 나타낼 때 쓴다.

(바깥쪽의 큰 따옴표와 중복이기 때문에 작은 따옴표를 씀)

자료 : 국립국어원

만약, 인용한 말이 마음속으로 한 말임을 나타낼 때는

작은따옴표를 쓴다.

ex) '처음에만 열심히 하는 척하다가 결국에는 그만두겠지'하고 생각했어요.

문장 내용 중에서 주의가 미쳐야할 곳이나,

중요한 부분을 특별히 드러내 보일 때에도 작은 따옴표를 쓸 수 있음

이상, 문장부호(쉼표, 가운뎃점, 쌍점, 빗금, 큰따옴표, 작은따옴표) 맞춤법 및

띄어쓰기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