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의료비세액공제 계산 방법 정리 안경 렌즈 성형수술 약국

by 별별의 경제적 자유 이야기 2025. 1. 13.
반응형

연말정산 의료비세액공제란?

의료비세액공제란

근로소득이 있는 거주자가 기본공제대상자를 위하여

해당 과세기간에 의료비를 지급하는 경우

종합소득산출세액에서 공제 함

의료비 세액공제

근로소득이 있는 거주자가 기본공제대상자를 위하여

해당 과세기간에 의료비를 지급하는 경우

종합소득산출세액에서 공제 하는 것을 말합니다.

의료비 세액공제는 총급여액의

3%를 초과하는 금액이 의료비 세액공제 대상입니다.

키워드연말정산(의료비 세액공제)

[의료비 세액공제율]

-일반 기본공제대상자 의료비 : 15%(연 700만원 한도)

-본인, 65세 이상, 6세이하 장애인 의료비 : 15% 세액공제(한도X)

-미숙아 /선천성이상아 의료비 : 20% 세액공제(한도X)

-난임시술비 : 30% 세액공제(한도X)

키워드연말정산(의료비 세액공제)

[의료비 세액공제 주의할 점]

-사내근로복지기금으로부터 지급받은 의료비는 공제 대상 X

-근로자가 산후조리원에 산후조리 & 요양 대가로 지급하는 비용은 공제 대상

(출산 1회당 200만원 한도)

-근로자가 가입한 실손보험 등에 의해서

보험회사로부터 수령한 보험금으로 지급한 의료비는 공제대상 X

-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본인부담금상한제 사후환급금을 받는 경우 의료비 공제대상 X

-외국 의료기관에 지출한 의료비도 공제 대상 X

-실제 부양하지 않는 직계존속 및 생계를 같이하지 않는 형제자매를 위한 의료비는 공제 대상 X

-맞벌이 부부의 자녀의료비는 기본공제 받은자가 지출한 것만 공제 대상

#연말정산의료비공제

#의료비세액공제 #의료비공제

의료비 세액공제 대상 금액 계산

연말정산의료비공제 계산해봐요

 

키워드연말정산(의료비 세액공제 계산 방법)

의료비공제 계산방법은 위와 같으나

국세청 계산사례로 몇 개 계산해보면 쉽게 이해가 갑니다.

국세청 2024년 귀속 주요 공제 항목별 계산사례(의료비공제)

사례2 -> 4천만원 근로자 총급여액 3% =120만원

일반 기본공제대상자 공제금액 100만원에서

3% 120만원 =-20만원

본인 등 의료비 공제대상 1천만원-20만원

=980만원

980만원에 * 15%=147만원 의료비 세액공제금액

국세청 2024년 귀속 주요 공제 항목별 계산사례(의료비공제)

사례3 -> 총급여 4천만원 * 3% = 120만원

본인 등 의료비 1천만원 + 일반 기본공제 대상자의료비 1백만원

=11백만원

여기서 실손보험금 수령액 200만원을 차감

세액공제 대상 의료비 900만원에서

총 급여 3%인 120만원을 제하면

780만원이 의료비 공제대상

780만원 * 15% 공제율을 곱하면 = 117만원 세액공제 계산

국세청 2024년 귀속 주요 공제 항목별 계산사례(의료비공제)

사례4 -> 총급여 5천만원의 3% = 150만원

산후조리원 비용은 3백만원 중에

2백만원 한도이므로

200만원이 세액공제 대상의료비

200만원 인정받은 의료비에서

급여 3% 초과분만 세액공제 대상이므로

200만원-150만원=50만원

50만원 * 15% =7만5천원 의료비세액공제 계산

국세청 2024년 귀속 주요 공제 항목별 계산사례(의료비공제)

 

사례6 -> 총급여 6천만원의 3% = 180만원

난임시술비 400만원 + 산후조리원비용 200만원 한도

+기타 의료비 350만원 = 950만원 의료비 공제대상

950만원 의료비 대상에서 180만원을 제외하면

770만원 세액공제 대상금액이 계산됨

난임시술비 400만원 * 35% + 산후조리원비용& 기타의료비 370만원 * 15%

=175만원 의료비세액공제

국세청 2024년 귀속 주요 공제 항목별 계산사례(의료비공제)

사례 7 -> 총급여 8천만원의 3% =240만원

산후조리비용 200만원 + 병원 치료지 300만원

총 500만원 의료비

500만원에서 총급여의 3%를 제하면

260만원이 세액공제 대상금액임

따라서 260만원 * 15% = 39만원 의료비세액공제 계산 됨.

의료비 세액공제 Q&A

국세상담센터 의료비세액공제 질문 정리

국세상담센터는

세액계산 플로우에 따라 연간근로소득, 총급여액,

근로소득금액, 기본공제, 추가공제 등의 Q&A를 모아놓은 곳입니다.

(법적효력을 갖는 유권해석이 아니므로 참고사항!!)

국세상담센터(의료비공제 질문 정리)

의료비 세액공제 FAQ로 대부분 커버가 될 겁니다.

Q)맞벌이 부부인데, 남편이 배우자를 위해 의료비를 지출한 경우

-> 남편이 공제받을 수 있음

지출한 근로자 본인이 의료비 세액공제받는 것이지

진료를 받은 해당 배우자가 세액공제를 받는 것은 아님

Q)맞벌이 부부의 부양자녀 의료비 세액공제 대상은?

-> 지출한자가 의료비 공제 가능

만약 남편이 부양자녀에 대해 기본공제를 받았지만,

배우자가 부양가족 의료비를 지출하였다면

남편이실제 의료비를 지출한 것이 아니기에 공제를 받을 수 없음

(*배우자인 경우 타 기본공제대상자를 위한 지출의료비라 공제 X)

Q) 따로 살고 있는 부모님 의료비 세액공제 가능?

-> 부모님과 주거형편상 별거하고 있지만

실제로 생계를 같이하는 경우 나이/소득요건 충족하지 않아도

의료비 공제 가능

(*단, 부모님이 타인의 기본공제대상자가 아니어야 함)

Q) 같이사는 부모님(연령/소득요건 x) 의료비 지출, 세액공제 가능?

-> 같이 거주하는 부모님의 소득금액이 1백만원을 초과하거나

60세 미만으로 기본공제를 받지 못하더라도

근로자가 부모님 의료비를 지출하였다면 의료비 공제 가능

Q)의료비를 신용카드로 계산하는 경우 중복적용 가능?

-> 적용 가능

의료비 세액공제 및 신용카드 등 소득공제 모두 적용 가능

Q)의료비 세액공제 가능한 내역들

-건강진단비용 : 진찰/치료/질병예방을 위해의료기관에 지급한 비용이라 공제 가능

-유방재건비용 : '질병을 원인으로한' 유방재건비용은 미용/성형목적이아니라면 공제 가능

-의안 : 의안은 의료기기라서, 의사 처방에 따라 구입 후 의료비 공제 가능

-안경, 콘텍트렌즈 구입비 : 1인당 50만원 한도 내 공제 가능

-보철, 틀니, 스케일링, 치열교정비 : 보철이나 틀니, 스케일링 비용 의료비공제 가능

(*치열교정비는 저작기능장애 진단서가 첨부된 경우에 한해서 의료비 공제 가능)

-라식 : 라식수술비, 질벼예방을 위한 근시교정시술비는 공제 대상

-약국 구입비 : 의약품이 아닌 건강기능식품 등의 구입비용은 공제대상 X

-환자식대 : 원칙은 안됨, 단, 의료비에 포함하여 환자 식대 포함 시 공제 가능

-사설구급차 이용비용: 의료기관이 아닌 사설응급환자 이송업체 구급차는 공제대상 X

-간병비 : 의료기간이 보통 간병인을 소개만 해주는 역할이라 공제대상 X

-진단서 발급비용: 의료비 공제대상 X

-성형수술 : 의료비 공제대상 X

이상, 연말정산의료비공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위 내용은 별별의 개인적인 분석이므로 참고용으로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웃추가, 공감도 부탁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