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간 다수계좌 개설 제한
신규 계좌를 개설하게 되면,
20 영업일 동안 타 금융사에서 계좌를 만들 수 없습니다.
단기간 다수계좌 개설 제한은
보이스피싱을 예방할 목적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단기간 다수계좌 개설은
신규 계좌를 개설하게 되면,
20 영업일 동안 타 금융사에서 계좌를 만들 수 없습니다.
20영업일이기 때문에
주말이나 공휴일/대체공휴일이 있으면
거의 1달을 기다려야 신규계좌개설이 가능합니다.

자료 : 카카오뱅크 고객센터
금융감독원에서 대포통장과 보이스피싱 방지를 위해
2010년 금융감독원에서 행정지도로 도입하여,
단기간에 다수계좌 개설 제한을 두었습니다.
이후에는 단기간 다수계좌 개설에 대해서
금융거래 목적확인서를 받도록 하였습니다.

자료 : 금융감독원 보도자료(12.10.31)
하지만, 단기간 다수계좌개설 제한은
2020년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고 합니다.
즉, 자율적으로 금융권에서
20일영업 제한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고객의 불편을 감수하더라도
금융범죄를 예방하는 목적이 더 크기에
대포통장 및 보이스피싱 예방 조치로 아직까지 관행처럼 유지되고 있습니다.
미래에셋증권에서도
단기 다수계좌 개설제한 내용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시행일 : 2021년 6월 11일(금)

자료 : 미래에셋증권 앱(단기 다수계좌 계좌개설 제한)
인터넷은행인 카카오은행에서도
신규계좌 개설시 20영업일 규제가 적용이 됩니다.

자료 : 카카오뱅크 고객센터
보통은 1금융권에서 신규 계좌를 만들면
2금융권인 저축은행에서도 20영업일 제한으로
계좌개설이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일부 시중은행에서
영업점을 직접 방문하면 20영업일과 상관없이
계좌개설도 가능하다고는 하는데
어디인지는 찾아보아도 나오지 않긴합니다.
아래 카뱅 고객센터에서는
단기간 다수계좌개설제한에 대해
'모든'금융기관이라고 언급하고 있긴합니다.

과거 한 인터넷모임 통장은 20일 룰이 적용되지 않았었는데
대포통장 악용 우려로 새롭게 제한을 적용한 사례도 있습니다.

내가 언제 계좌개설했는지 기억나지 않는다면?
어카운트인포-계좌정보통합관리
저도 이전에 언제 계좌개설을 했는지
따로 기록해놓지 않아서 헷갈린 적이 있었는데요.
이럴 땐 어카운트인포-계좌정보통합관리에 들어가면
나의 계좌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료 : 구글플레이 앱(어카운트인포-계좌정보통합관리)
나의 금융계좌정보를 한 눈에 알 수 있기에
내가 어디 금융기관의 어느통장을 마지막으로 개설했는지
꼭 기억하지 않아도 됩니다.

자료 :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 홈페이지
아래와 같이 앱을 설치하여
나의 계좌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원하는 계좌 상세에 들어가면
아래와 같이 개설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앱 말고도 홈페이지를 통해
금융기관별 계좌내역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자료 :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
12월 21일에 아래와 같이 조회해보았습니다.
저번에 만기된 적금때문에 신규 적금을 가입했는데,
2024년 11월 29일 개설일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자료 :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
'카카오뱅크 고객센터'에
'계좌개설가능일자 계산하기'를 검색하면
나의 20영업일 계좌개설 제한이 언제 풀리는지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계좌개설 가능일자 계산하기'를 검색하여
2024년 11월 29일을 검색하였더니
12월 30일부터 계좌개설이 가능하다고 알려주네요!

자료 : 카카오뱅크 고객센터(20영업일 계산방법)
이상, 단기간 다수 계좌개설 제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2024년 5월 기사에서도
단기간 다수계좌개설제한의
기간 축소에 대해서는 논의가 진행된 바 없다고 하네요.
번거롭지만
대포통장과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해
20영업일 제한은 앞으로도 잘 지켜야할 것 같습니다.
\
위 내용은 별별의 개인적인 분석이므로 참고용으로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웃추가, 공감도 부탁드립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7만명 가입한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그리고 나이 조건 (2) | 2025.01.04 |
---|---|
지방세 성실납세자 제도 기준과 혜택 궁금하다면 (2) | 2025.01.04 |
생산자 물가지수(PPI)는? ft 목적과 활용분야 유의점 (0) | 2025.01.01 |
시드머니 1억모으기 걸리는 시간은 얼마일까? (1) | 2025.01.01 |
주택청약저축 소득공제 한도 300만원으로 상향(월 납입 인정액 25만원으로 상향) 혜택 (0) | 2024.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