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과학적 관리법 - 테일러 (고전적 경영학)

by 별별의 경제적 자유 이야기 2024. 7. 21.
반응형

안녕하세요~

별별입니다.

1900년대 미국은 산업화로 인하여 대규모의 공장이 들어섭니다.

이 당시 사용자와 노동자의 성과급문제로 문제가 많이나서 서로간의 불신이 많아집니다.

이에 따라 조직적으로 태업도 많아지고 하니, 테일러가 이 문제를 해결해 보고자 하였습니다.


테일러(Frederick Winslow Taylor,1856~1915 )

테일러는 미국의 경영학자입니다. 미국 경영학의 아버지라고도 불립니다.

당시 미국은 노동자와 사용자의 불신이 극에 달해 조직적인 태업과 공장의 경영난이 심했다고 합니다.

테일러는 베들레헴 철강공장의 말단사원에서 시작하여 작업자, 현장 감독자, 공장장까지 일하게 됩니다.

이를 보고 테일러는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과학적 관리법을 탄생시켰습니다.

고전적 경영학은 인간은 합리적이고 경제적이며 동기에 의해 행동에 이루어진다고 가정하고 있습니다.

고전적 경영학의 한 축인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과학적 관리법(Scientific Management)

작업관리에 있어서 시간과 동작연구를 통하여 고임금과 저노무비를 실현하고자하는 과학적 관리기법

작업 관리를 함에 있어서 과학적으로 해야한다는 점이 특이점입니다.

과학적 이라는 의미는 시간과 동작연구를 통해 일을 분해하여 표준 작업량에 따라 임금을 책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시간(시계)을 이용하여 합리적인 측면에서 작업을 바라본 것입니다.

기본원리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시간과 동작연구(Time & Motion Study)

1. 시간(초시계)을 이용하여 일일 최고 작업량을 측정합니다.

2. 표준적인 제조법 기준 측정

3. 성공에 대한 우대 (고임금을 준다)

4. 실패에 대한 손실 부담(저임금을 준다)

실제 테일러는 공장에서 작업을 시간과 동작을 하나하나 다 뜯어 분석합니다.

예를 들면 흙 작업을 한다고 해봅시다.

동작에 있어서 삽을 집어 든다. 허리를 숙인다. 삽을 흙으로 든다. 그 흙을 목표에 옮겨다 놓는다. 이러한 과정은 10초에 걸쳐서 이루어진다.

2)고임금과 저노무비의 실현(High wages & Low labour costs)

이러한 시간과 동작연구에 따라 사용자입장에서는 경영난을 탈피할 수 있습니다.

가령 철강회사의 과업이 100톤의 철강을 옮기는 과업이 있다고 가정합시다.

한 노동자는 하루 평균 12.5T톤 철강을 옮기고 임금 100달러를 가져간다고 합시다.

하지만 과학적 관리법에 따라 12.5톤은 조직적 태업으로 적은 일을 해온 것이고,

시간과 동작연구에 따라 표준 작업량을 정해보면 하루 45t정도 옮길 수 있다고 표준적 기준을 세웁니다.

공장입장에서는

100톤의 과업 / 12.5T톤의 하루 노동량 = 8명 필요

8명에 대한 100달러= 800달러

즉 하루에 한 공장에서 관리자는 100톤의 철강을 옮기려면 8명을 고용하여 800달러의 임금을 지불해야 합니다.

하지만 과학적 관리 하에서는

100톤의 과업 / 45톤의 하루 노동량 = 2.2명 필요

2.2명에 대해서 150달러 =330달러

즉, 과학적 관리법 하에 한 공장에서 관리자는 100톤의 철강을 옮기려면 2.2명을 고용하여 임금 330달러를 지불하면 됩니다!

같은 100톤을 옮기는데, 과학적인 방법으로 노동자와 사용자 간의 표준적인 과업량(하루 평균 45톤)을 정하면서

사용자도 저임금(800달러 -> 330달러)으로 비용 절감을 하고, 노동자도 고임금(100달러 -> 150달러)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3) 차별적 성과급제(Differential piece-rate system)

표준작업량을 정해두고 표준작업량을 초과 달성한 노동자에게는 고임금을, 표준작업량을 미달한 노동자에게는 저임금을 주는 성과급제도입니다.

4) 기획부제도 설치(Planning department)

공장은 체계적으로 관리되어야 합니다. 이 제도의 부서는 변화하는 환경에 따라 작업의 표준량(시간과 동작)을 정기적으로 정하는 계획을 수립하게 됩니다.

5) 기능식 직장제도(Functional foremanship)

종래의 공장이 군대식 조직이었다면 철저하게 기능적 조직으로 바꾸기 위한 제도입니다.

직장(공장 근로자들을 감시,감독,교육)이 모든 것을 담당하면 전문성이 결여되어 업무 과부하가 일어나게 됩니다.

기능식 직장제도를 통해 생산과 감독부문을 분리하여 전문화 한 셈입니다.

6)작업지시표제도(Instruction card system)

노동자에 따라 각기 다른 방법에 따라 작업을 하는경우가 있어서 이를 통일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노동자는 표준작업량, 작업 순서에 따라 동작이 기입되어 있는 지시표에 따라 작업을 하면 됩니다.

테일러는 위와 같은 과학적 관리법을 통해 게으른 노동자와 사용자의 무원칙적인 임금결정문제를 해결하고자 했습니다. 실제적으로 기업의 생산선을 높이는데 기여를 하였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하지만 비판도 많습니다.

1) 인간을 경제적(돈) 관점에서만 바라 보았음

인간의 행동에 동기부여할 요인은 돈말고도 많습니다. 너무 단편적으로만 보았습니다.

따라서 인간적인 면을 무시하였다는 비판이 많습니다. 노동을 기계화했다는 점도 있습니다.

표준작업량을 달성할 수 없는 저임금을 받는 노동자는 결과적으로 다른 일을 알아보아야 한다는 점입니다.

2) 미시적으로 접근한 경영학적 방법

사회 전체적으로 바라본 경영학이 아닌, 한 기업의 공장 내부만을 들여다 보았다는 점입니다. 거시적인 경영학적 틀이 아닌 노동자의 작업에만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실제로도 경영자입장에서 생산성을 고려하다보면 기업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환경도 적응해야하기 때문에 부족한 점이 많아 보입니다.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는 중간 경영자입장에서 생산현장을 바라보는 관점으로 보고 있습니다.

테일러는 이러한 비판에도 효율성의 향상은 종업원의 복리후생을 줄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증대시킨다고 하였고 표준작업량을 달성할 수 없는 일을 하는 사람은 다른 잠재적 직무를 알아보면 된다고 반박하였습니다.

테일러로부터 경영학이 학문으로 시작하였고 이때 미국의 1900년대 상황으로는 생산이 곧 경영 이라는 시대적 상황을 감안하면 그 때 당시의 상황으로서는 이해가 갑니다.

 

테일러가 노사관계의 불신을 타개해보고자 과학적 관리법을 제시하였고, 노사 서로 공영해보자고 노력해본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