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별별입니다.
일본의 도요타 자동차가 1950년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고안했던 JIT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일본에서 1950년대 창안되어 1970년~80년대에 JIT가 발전되어 활용되었고 1990년대까지 잘 이어져왔던 생산방식입니다.
적시생산시스템(Just In Time=JIT)
적시에 필요한 물건을 공급하여 재고가 남지 않도록 대량생산하는 일련의 활동.
도요타 생산방식, 무재고 시스템, 적시생산방식 등으로 불리운다.
도요타의 사장인 도요타 기이치로가 고안한 방식으로 '불필요한 낭비를 제거, 비용절감, 효율성'를 목표로 하는 생산경영방식이다.
도요타 자동차
일본은 미국에 비해 국토면적은 5%도 안되고, 인구도 50%도 안되기 때문에 재고를 보유하는 것은 공간과 자원의 낭비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불량품의 생산도 줄여야하고 제조공정 상의 불필요한 낭비적 측면들을 제거해야 했습니다.
"재고는 악이다"라는 보는 겁니다.
도요타는 7가지 낭비요소를 제거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과잉생산의 낭비
작업대기에 의한 낭비
운반의 낭비
가공 그 자체에 의한 낭비
재고에 의한 낭비
재고의 낭비
동작의 낭비
불량품에 의한 낭비
일본의 공장에는 JIT라는 구호도 많이 붙어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1990년대 일본은 공정의 효율화, 부품의 단순화를 통해 재고량을 줄였다고 합니다.
실제로 도요타의 성공으로 일본의 여러기업들도 동참하여
일본의 90년대 재고회전율(매출액/재고자산)= 10회 에서 2010년에 13.6회로 변화됐다고 합니다.
일본의 도요타 JIT방식은 다음의 기본원칙을 기조로 합니다.
1)소규모 로트(Small Lot)생산
"가장 이상적인 로트 크기가 1일 것이다."
롯트크기가 작을수록 순환재고를 줄일 수 있다.
2) 칸반시스템(Kanban System)
칸반은 우리나라말로 간판입니다. 큰 간판보다는 카드가 좀 더 유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생산에 필요한 물량, 시간, 장소 등을 적어서 이전 생산공정의 작업자에게 지시하는 정보시스템입니다.
3) 풀시스템(Pull Systyem)
후공정 -> 선공정으로 충당하는 방식이다.
푸시 시스템(Push System)과 대비되는 방식이다.
*푸시시스템은 물건을 만들어놓고 다음 단계에 밀어넣는 방식
4)생산의 평준화
작업장에 균등한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각 공정에서 균등한 작업이 되어야하고, 매주 일정계획을 기초로 안정된 생산을 해야한다.
5)품질경영(Quality Management)
JIT에서 품질은 가장중요하다.
불량품이 중간에 있으면 후속공정에 차질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모든 작업 구성원이 품질에 대해 책임지고, 고품질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6)작업자의 다기능화
자신의 기계 뿐 아니라 다른 기계들도 활용할 줄알아야 한다.
소수의 인원이 다량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 작업자의 다기능화가 중요하다.
7)설비배치의 원활화
로트 사이즈가 줄어들기 때문에 'U자형'의 배치를 하게 된다.
또 공정을 위한 재고저장소가 있는 것이 아니기에 저장소보다 일시적인 재고는 현장주변에 두게 된다.
8)공급자 네트워크 중시
공급자를 적대적 관계가 아닌 우호관계로 생각하는 것이다.
납품하는 곳의 공장 근처에 자재의 공급자가 위치하는 방식이다.
9)유지보수활동
JIT시스템은 공정이 멈추면 큰 지장을 초래하기 때문에 예방활동이 중요하다.
JIT시스템을 통해
리드타임의 감소, 유휴시간의 단축을 이끌어낼 수 있다.
또한 제품의 품질향상, 생산성 향상 및 고객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최근엔 도요타 자동차도 JIT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는 듯 보입니다.
엔고현상심화, 대지진 등으로 재고를 쌓아놓지 않으니 경영환경이 악화되서 그렇습니다.
최근 경영환경하에서 생산방식의 원가절감방식만으로 경영활동이 잘 이루어지기 힘들어서 그런듯 보입니다.
또 일본은 지진에 매우 취약합니다.
예를 들어 대지진이 일어나서 일본의 공장이 돌아가지 않게되면, 제품을 생산하지 못하는데 심지어 재고도 없습니다. 그렇다면 연결된 공급망의 기업들도 같이 피해를 입게 됩니다. 이 부분이 가장 치명적인 부분인 듯 보입니다.
물론 일본에 과거에도 지진피해는 심각했지만, 요즘같이 경영환경이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 이해관계가 맞물린 것이 이전보다는 강해서 그런 면도 있어보입니다.
즉, 부품부족이면 생산이 지체되며, 수요예측을 잘못하기라도 한다면 초과재고로 이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외부 환경이 잘 맞으면 상관없지만, 기업에게 외부환경이 좋지 않게 돌아가면 보험용으로 재고를 쌓아두는 것도 좋은 방식인듯 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참고 : " 도요타 'JIT원칙'버리고 在庫늘리기 나서", 2012.01.16 ,한국경제뉴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각의 오류 / 지각과정에서의 오류 (0) | 2024.07.21 |
---|---|
독일경영학 / 미국경영학 비교 (0) | 2024.07.21 |
리더십의 발달과정 (0) | 2024.07.21 |
호손(공장) 실험 "1920년대 인간관계론 정립, 호손효과" (0) | 2024.07.21 |
ESG 경영을 알아보자! 지속가능경영 이에스지 뜻 (0) | 2024.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