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별별입니다.
벌써 무더운 여름이 다가왔습니다.

오늘은 한국전력 전기요금 계산 및
계산기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그리고 전기세도 직접 계산해보고자 합니다.
#전기요금 #한국전력전기요금 #전기요금계산
#전기요금엑셀 #전기세
한국전력 전기요금 계산?
한전 전기요금
:기본요금 + 전력량요금 + 기후환경요금 + 연료비조정요금

한국전력 홈페이지
한국전력의 전기요금은
기본요금 + 전력량요금 + 기후환경요금 + 연료비조정요금으로 구성됩니다.
기본요금은 변전소, 송배전선로 등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설비를 구축하고 유지보수하는데 쓰이는 비용을 반영한 요금입니다.
설비용량에 따라 기본요금에 차등이 생깁니다.

자료 : 한국전력 홈페이지(전기요금 구조)
기후환경요금은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 제공에 소요되는 비용입니다.
(전기 사용에 따르는 기후, 환경에 관한 비용 요금)
매년 변동되지만, 23년 5월 기준으로 9원/kWh입니다.
(*기후환경요금단가는 매년 변동 됨)

자료 : 한국전력 홈페이지(기후환경요금)
연료비조정요금은 석탄, 천연가스, 유류 등의 연료비를 반영하는 요금입니다.
(*연료비 변동분을 전기요금에 주기적으로 반영하는 요금)

한전 홈페이지(연료비조정요금 : 전기의 원가에서 차지하는 연료비중이 크기 때문에 전기요금에 연계)
매 분기 변동되며, 23년 5월 기준 5원/kWh입니다.
(*연료비조정단가는 매분기 조정 됨)
기본요금과 전력량 요금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23년 5월 16일 기준의 하계 전기요금입니다.
하계 : 7월 1일 ~ 8월 31일
하계 기본요금이 300KWh이하까지는 910원입니다.
하계가 전기요금을 더 써도 겨울보다 기본요금이 조금 더 저렴합니다.
310~450kWH 사용 시 기본요금이 1,600원입니다.
(보통 여름철 4인가구 기준
7~8월의 평균 전기사용량이 427kWh 정도)

자료 : 한국전력 홈페이지(25년 4월 1일 전기요금표(종합) - 저압 하계 주택용 전력 요금표
23년 5월 16일 기준의 기타계절 전기요금입니다.
기타계절 : 1월 1일 ~ 6월 30일, 9월 1일 ~ 12월 31일
여름보다는 전기사용요금이 더 비싼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0kWh이하 사용 시 910원(여름은 300kwh까지가 910원이었음)
그리고 210~400kwh 사용구간이 1,600원입니다.

자료 :한국전력 홈페이지(주택용 전력(저압))-기타계절(1월~6월, 9월~12월)
위와 같이 기본요금, 전력량요금, 기후환경요금, 연료비조정요금이 구해져
전기요금이 계산되면
전기요금 + 부가가치세 + 전력산업기반기금의 청구금액이 발생됩니다.

자료 : 한국전력 홈페이지(25년 4월 1일 전기요금표(종합)
2022년 기준으로 전기사용 현황을 살펴보면
산업용을 제외하고 주거용, APT인 주택용이 15%의 비중을 차지합니다.
(*일반용 : 공공, 영업용으로 24% 차지)

한전 홈페이지(전기요금 현황)
산업용이 53%나 차지하는군요.
우리나라 전기사용량 추이는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한전 홈페이지(전기요금 현황)
가정집인 주거용, APT인 주택용 전기요금을 기준으로
전기요금계산기를 살펴봐야겠습니다.
아래 한국전력 사용량별 전기요금표 엑셀로
상세내역 예시를 볼 수 있습니다.
한국전력 홈페이지에 있는 전기요금표 엑셀기준으로,
23년 5월 16일 기준 주택용(저압) 기준 기타계절 사용량별 요금표입니다.
기타계절 : 1월 1일 ~ 6월 30일, 9월 1일 ~ 12월 31일
사용량 1kwh라면
= 기본요금 910 +전력량요금 120 +기후환경요금 9 +연료비조정요금 5 =1,170원의
전기요금이 계산됩니다.
청구금액 =전기요금 1,044+ 부가가치세 104원 + 기반기금 30= 1,170원입니다.

자료 : 한국전력 홈페이지(전기요금계산 엑셀)-주택용(저압) 사용량별 요금표
사용량 (kWh)를 쭈욱 내려서 보시면 됩니다.
23년 5월 16일 기준 주택용(저압) 기준 하계 계절 사용량별 요금표입니다.
하계 : 7월 1일 ~ 8월 31일
하계가 타 기간보다 저렴한 이유는
한여름에 전력수요가 많아서 7~8월에는
누진구간을 완화하는 시스템입니다.

한전 홈페이지(주택용 하계 누진구간)
직관적으로 전기세를 계산하려면 보려면
한국전력 전기요금계산기를 보는 것이 편리합니다.
한국전력 전기요금 계산기
7~8월의 평균 전기사용량이 427kWh라고 하니
한국전력 전기요금계산기 돌려보자~!
보통 여름철 4인가구 기준
7~8월의 평균 전기사용량이 427kWh 정도라고 합니다.
가구당 전기소비량은 대략 3600~3700kwh정도 되네요.
월평균으로 따지면 300kWh 내외로 계산되는군요.
네이버에 전기요금 계산기를 검색하면
아래와 같이 사용량만 적으면 바로 전기요금이 계산됩니다.

자료 : 네이버 전기요금 계산기-25년 5월 6일 기준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려면
한전 전기요금계산기를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한국전력 전기요금계산기에 들어가면
최신 전기요금으로 반영된 한전 전기요금 계산기로
상세내역을 자세하게 볼 수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에 링크 걸어두었습니다.)
자료 : 한국전력 홈페이지(전기요금 계산기, https://online.kepco.co.kr/PRM033D00)
25년 5월 06일 기준으로,
4인가구 기준 주택용(저압)으로 5월 한달간 전기사용량이 427/kWh라면
100,170원의 요금이 계산됩니다.(기타계절 기준)

자료 : 한국전력 홈페이지(전기요금 계산기, https://online.kepco.co.kr/PRM033D00) 전기요금계산기 예시
기본요금 7,300원 + 전력량 요금 75,217원 + 기후환경요금 3,843원
+연료비조정요금 2,135원 = 전기요금계 88,495원입니다.

자료 : 한국전력 홈페이지(전기요금 계산기, https://online.kepco.co.kr/PRM033D00) 전기요금계산기 예시
전기요금 부가가치세는
88,495*10%=ROUNDUP(8849.5)=8850원으로 계산되네요.
88,495원 전기요금계에
여기에 부가세 8,850원 + 전력산업기반기금 2,830원을 더하면
청구금액 100,175원이 계산됩니다.
제가 6월 기준(기타계절)으로 가정해서 100,170원입니다.
아까 엑셀의 표 427Kwh와
한전 전기요금계산기와 숫자가 100,170으로 일치합니다.

자료 : 한국전력 홈페이지(전기요금계산 엑셀)-주택용(저압) 사용량별 요금표(기타계절)
만약 7월 하계기준으로 가정하면
80,170원이라고 엑셀표에 나오네요.

자료 : 한국전력 홈페이지(전기요금계산 엑셀)-주택용(저압) 사용량별 요금표(하계)
위와 같이 한국전력의 사용량별 전기요금표는
계산내역이 세부적으로 계산되어 있어 편리합니다.
(글쓰는 시기와 적용요율표가 다를 수 있으니 참고사항으로만 봐주세요)
다음의 한국전력 사용량별 전기요금표 엑셀로
상세내역 예시를 살펴보시면 좋겠습니다.
이상, 한국전력 전기요금 계산 및 계산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우리집 전기세도 전기요금계산기 돌려보면 좋을 것 같네요.
전기세 한전 홈페이지 내용으로 궁금한 점 정리
Q)기후환경요금 왜 내야하나요?
기후환경과 관련된 비용 투명성을 높이고 인식을 공유하고자 도입하고 있으며,
기존 전력량 요금과 분리하여 청구 중
하지만 미국을 포함한 여러 선진국도 전기요금과 함께 청구하고 있음

한전 홈페이지(기후환경비용은 선진국에서도 전기요금과 함께 청구)
Q)우리나라 전기요금이 비싼지?
23년 기준 일본의 56%, 영국의 33%로 저렴

한전 홈페이지(전기요금 해외 비교)
주거 요금도 독일이나 영국에 비해 훨씬 저렴함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우리나라 전기요금을 저렴한 편!

한전 홈페이지(전기요금 해외 비교)
Q)누진제를 폐지해야 전기요금 부담이 줄어들지 않는지?
누진제란 사용량이 적은 구간엔 낮은 요금을,
사용량이 많은 구간엔 비교적 높은 요금을 부과하는 제도.
1~2단계인 400kwh이하는 원가 이하의 요금으로,
3단계인 400kwh는 다소비 구간으로 원가 이상 요금이 부과됨
만약, 누진제를 폐지하면 월평균 사용량 400kwh이하인 대다수 고객들은
오히려 요금이 인상되며, 3단계 일부 전력다소비 고객들의 요금이 인하될 수도 있음

한전 홈페이지
Q)전기요금 몇개월 미납시 단전?
납기일로부터 2개월이 되는 날까지 전기요금을 납부하지 않은 고객은
단전일 7일전까지 미납요금 납부 안내를 받게 되고, 이후 전기사용계약이 해지 됨

한전 on 홈페이지
Q)전기요금 미납 연체율은 몇%?
-> 처음 1개월 미납시 1.5%로 일수계산,
다음 1개월 미납 시 1.5%로 일수계산

한전on 홈페이지(전기요금 연체료율 1.5%)
Q)이사 갈 경우 전기요금은 어떻게?
- 한전 전기요금청구서 고객번호(10자리) 또는 계량기번호 확인
- 현재 계량기 지침 확인하기
- 고객센터(123)로 전화
- 고객번호(혹은 계량기번호)와 확인한 계량기 지침 알려주기
- 정산요금 납부 (자동이체 해지, 복지할인 해지 필요)

한전on 홈페이지(이사 갈 경우 전기요금은?)
Q)자동이체 잔액 부족이면 어떻게 됨?
->전기요금 자동이체 계좌 예금잔액 부족으로 인출되지 않은
전기요금은 다음달 납입일 도래 전 추가 출금 됨

한전on 홈페이지(잔액 부족이라면 자동이체는 어떻게?)
자료 : 한국전력 홈페이지, 한전on 홈페이지 참고
위 내용은 별별의 개인적인 분석이므로 참고용으로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웃추가, 공감도 부탁드립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기업 연봉 순위 정리! 1위는 에쓰오일 2위 삼성 (1) | 2025.07.06 |
---|---|
가계부채 관리방안 보도자료 정리해보자!주담대 한도 6억원 FAQ정리 (1) | 2025.07.06 |
부실차주와 부실우려차주 지원하는 새출발기금 대상과 지원내용은? (4) | 2025.07.06 |
매월 2500원 KBS TV수신료 내는 이유? 미납 통합징수 해지 (3) | 2025.07.06 |
94개월 냈던 나의 국민연금납부액조회 및 수령나이는? (1) | 2025.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