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역대 경제활동인구와 실업률 취업률 정리해보자

by 별별의 경제적 자유 이야기 2025. 4. 21.
반응형

안녕하세요

별별입니다.

2000년부터의 우리나라 경제활동인구,

취업률, 실업률 등을 직관적으로 알아보고자 합니다.

#경제활동인구

#우리나라실업률 #실업률 #취업률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서

자료 추출했어요.

24년 말 기준 우리나라 실업률은 3.8%,

고용률은 61.4%, 경제활동인구는 2,915만명이며,

취업자수는 2,804만명입니다.

한국은행 ECOS(우리나라 고용통계-24년말)

ECOS에 가면 우리나라의 고용통계를 연도별로

쭉~ 볼 수 있습니다.

저는 우리나라 인구수와 실업률, 고용률, 경제활동인구, 취업자수를

시계열로 뽑아볼 생각입니다.

한국은행 ECOS(우리나라 고용통계 추출)

엑셀이 제가 원하는 컬럼들로 추출이 되었습니다.

이를 가공해보겠습니다.

 

먼저, 한국은행에서 정의한

아래 항목 단어 의미부터 간단히 알고가야겠습니다.

경제활동인구 뜻:

총인구 중에 만 15세 이상의 인구를 노동가능인구 or 생산가능인구라고 하는데,

이 중 일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는 사람을 경제활동인구라고 함

경제활동인구 +비경제활동인구 =노동가능인구

경제활동인구의 측정이 중요한 이유는,

경기상황을 나타내는 '실업률'을 측정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이기 때문.

취업자는 소득,이익, 임금 등의 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 한 자를 의미합니다.

한국은행 용어사전 : '취업자' 의미

-취업자 : 경제활동인구 중에서 취업상태에 있는 사람

-실업자 : 경제활동인구 중에서 실업 상태에 있는 사람

$\left(실업률\%\right)=\ \frac{실업자수}{경제활동인구수}*100$(%)= *100

2000년부터 추계인구와 경제활동인구

경제활동참가율, 취업자, 고용률, 실업자, 실업률을 한표로 나타냈습니다.

인구수가 증가함에 따라 경제활동인구도 꾸준히 증가해왔습니다.

(경젱활동참가율도 61.2%에서 64.5%로 꾸준히 증가)

2024년 말 기준 우리나라 경제활동인구수는 약 2,939만명입니다.

 

저출산 심화에 5,100만명 대에서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있는데

우리나라 경제활동인구가 증가하는 이유로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경제활동인구가 증가한 이유>

①2010년대부터 경제활동참가율 추세적 상승

②고령층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 청년층이나 핵심층보다 고령층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크게 증가하였기 때문

한국은행 노동공급의 추세적 변화에 대한 평가 및 전망 보고서

경제활동인구 상승 요인 중에

여성 베이비붐 세대의 고령층 경제활동참가율이 증가하였다고 하는데

교육수준의 향상, 높은 근로의욕, 서비스업 취업 적합성이 특성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 취업자수와 실업자수를 시계열로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고용률도 꾸준히 증가해서 58.5%-> 62.7%로 증가했고,

우리나라 실업자수는 100만명 내외입니다.

2020년대에는 실업률이 2%대로 크게 낮아졌네요.

우리나라는 성장이 감소했지만, 특히 코로나19 이후

실제실업률이 낮아진 이유는

정부의 고용유지 지원 정책과, 일시휴직 증가 등에

기인한 것이라고 합니다.

한국은행 기업의 노동비축과 낮은 실업률 참고

<2020년대 실업률이 낮아진 이유>

①기업들이 코로나 이후에 생산량에 비해 근로자를 많이 고용하고 있음

②신규 채용 어려움으로 기업들이 해고 대신에 근로시간을 조정하여 경기에 대응

③대면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노동수요 증가

이상, 우리나라 역대 경제활동인구와 실업률 및 취업률을 정리해보았습니다.

https://blog.naver.com/gyujin0917/223741539183

자료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노동공급의 추세적 변화에 대한 평가 및 전망 보고서 참고,

기업의 노동비축과 낮은 실업률 참고

 

위 내용은 별별의 개인적인 분석이므로 참고용으로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웃추가, 공감도 부탁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