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3개년 2.8조원 주주환원하는 반기배당주 KT&G 배당금 지급일과 주가는?

by 별별의 경제적 자유 이야기 2025. 4. 21.
반응형

안녕하세요~

별별입니다.

오늘은 2년 전부터 반기배당주로 탈바꿈한

KT&G 배당금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KT&G배당금 #KT&G주가 #케이티앤지주가

#케이티앤지배당금 #케이티엔지 #반기배당주주

KT&G 주가 및 배당정책을 알아보자!

KT&G주가와 배당정책 정리!

2024년 4월 17일 기준으로

KT&G 주가는 11만원, 시총은 13조 4천억원대입니다.

네이버페이증권(KT&G 주가) - 최근 11만원 내외!

KT&G의 주가는 코로나 때 크게 급락하고 이후 횡보하다가

최근 2022년 하반기부터 주가가 상승했었습니다.

행동주의 펀드들이 KCG인삼공사 분리 상장,

사외이사 확충 등의 요구를 해오자 22년 말 시장에서 주가 상승이 있었는데요.

참고로 지분구조를 보면 5% 넘는 기관들이 주요주주이지만

각 기관들 단독으로는 지분이 10%가 되지는 않습니다.

네이버페이증권(KT&G 지분율)-1대주주 지분이 10%가 채 안됨

케이티앤지 주가는 과거 20년 간 주가가 우상향 추세를 이어오다가 코로나 때

급락하여 우상향 추세가 잠시 꺾였었습니다.

최근에는 KT&G주가가 월봉 120일선(10년 주가평균)을 다시

상회하는 주가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네이버페이증권(KT&G주가) -전통적인 배당주이자 성장주였었음

10여년 전부터 KT&G 주가는 배당금도 증액해오면서

주가도 우상향해오는 교과서적인 주식으로 배워왔습니다.

코로나 때 주가가 꺾였지만 다시 주주환원책과 최대실적 이슈로

주가가 크게 상승한 것 같습니다.

케이티앤지(KTNG) 실적을 살펴봐야 겠습니다.

2022년 매출액 5조 8,514억원 / 영업이익 1조 2,676억원 / 당기순이익 1조 53억원

2023년 매출액 5조 8,626억원 / 영업이익 1조 1,673억원 / 당기순이익 9,224억원

2024년 매출액 5조 9,088억원 / 영업이익 1조 1,888억원 / 당기순이익 1조 1,650억원

-> 환율 상승으로 인한 외화한산이익 증가 등 영업외손익변동 영향

 

24년 4분기 경영실적 자료 -> 24년엔 글로벌 궐련 사업 역대 최고 실

2025년 예상 매출액 : 6조 2,323억원 / 예상 영업이익 1조 2,758억원 / 예상 당기순이익 1조 785억원

-> 네이버 가이던스 예상치임을 참고!

네이버페이증권(KTNG 실적)

국내 궐련 총 수요는 감소하고 있지만

시장점유율이 66.7%까지(24년) 올라왔고,

글로벌 실적이 사상 최대 연간 판매량을 달성해서 실적이 좋았습니다.

25년 실적도 예상치처럼 되길 기대해봐야겠습니다!

곧바로 KTNG배당정책을 알아봐야겠습니다.

사업보고서에서는 보유 자원의 효율적ㆍ효과적 투자배분을 통해

지속적인 미래성장투자와 주주환원을 병행하여 기업 본질가치와 주주가치 제고를

동시에 추진하는 것을 기본원칙으로 한다고 합니다.

(너무 이론적인데~)

 

2025년 3월 18일 사업보고서(케이티앤지) -배당정책

중장기 주주환원계획을 살펴봐야겠군요.

24년 ~26년 주주환원책 수시공시사항입니다.

3개년 동안 가용현금과 일부보유자산 유동화를 통해 약 2.8조원의

현금을 주주환원 예정입니다.

-배당정책 : 주당배당금(DPS) 기준 지속 우상향 추진을 통해 약 1.8조원의 배당 실시 예정

-자사주매입 : 배당 외 주주환원가능 잔여재원은 적정시장가치(Fair Value) 지지를 위해

3년간 1조원 정도 자사주 매입 예정

-자사주 소각 : 3년 간 현 발행주식총수의 약 15%소각(기존 7.5%/ 신규 자사주 취득 시 소각 7.5%)

KTNG 23년 11월 13일 수시공시의무관련사항 공시 -> 24년 ~26년 주주환원 계획 중

참고로 2019년 배당성향은 53.81%,

2020년 배당성향은 50.83%, 2021년 배당성향은 58.93%,

2022년 배당성향 57.24%, 2023년 배당성향 65.45%, 2024년 50.48%입니다.

-> 즉, 배당성향이 50%초반임을 확인할 수 있음

24년 4분기 케이티엔지 배당과 자사주소각 내역-> 주당배당금 우상향 중

과거 KT&G 배당금은?

KT&G 배당과 배당금지급일도 같이 정리해보자

DART 전자공시시스템에 들어가서

공시서류-공시통합검색에서 아래의 조건으로 검색합니다.

회사명 : 케이티앤지

보고서명 : 현금ㆍ현물배당결정

기간 : 10년, 20년~10년 전

 

전자공시시스템 : KT&G(케이티앤지) 배당금 정리방법

아래 공시에서 KT&G 주당배당금, 시가배당율, 배당기준일,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5년 2월 28일 KT&G(케이티앤지) 현금배당 결정 공시

위 공시들을 토대로 정리해보면..

"과거 케이티앤지 배당금은?"

2002년 말 : 1,400원(시가배당율 7.61%)

2003년 말 : 1,600원(시가배당율 7.32%)

2004년 말 : 1,600원(시가배당율 5.04%)

2005년 말 : 1,700원(시가배당율 3.54%)

2006년 말 : 2,400원(시가배당율 4.0%)

2007년 말 : 2,600원(시가배당율 3.2%)

2008년 말 : 2,800원(시가배당율 3.36%)

2009년 말 : 2,800원(시가배당율 4.18%)

2010년 말 : 3,000원(시가배당율 4.40%)

2011년 말 : 3,200원(시가배당율 3.89%)

2012년 12월 기준 : 3,200원(12월 말 : 80,800원) 3.96%

2013년 12월 기준 : 3,200원(12월 말 : 74,500원) 4.29%

2014년 12월 기준 : 3,400원(12월 말 : 76,100원) 4.46%

2015년 12월 기준 : 3,400원(12월 말 : 104,500원) 3.25%

2016년 12월 기준 : 3,600원(12월 말 : 101,000원) 3.56%

2017년 12월 기준 : 4,000원(12월 말 : 115,500원) 3.46%

2018년 12월 기준 : 4,000원(12월 말 : 101,500원) 3.94%

2019년 12월 기준 : 4,400원(12월 말 : 93,800원) 4.69%

2020년 12월 기준 : 4,800원(12월 말 : 83,100원) 5.77% 지급일 : 21.04.19

2021년 12월 기준 : 4,800원(12월 말 : 79,000원) 6.07% 지급일 : 22.04.29

2022년 12월 기준 : 5,000원(시가배당율 : 5.2%) 지급일 : 22.04.29

--------------------------------------------------KT&G 반기배당 실시---------------------------------------------------

2023년 6월 말 : 1,200원(시가배당율 1.4%) : 지급일 23.08.23

2023년 12월 말 : 4,000원(시가배당율 4.4%) 지급일 : 24.04.29

-> 2023년 배당금 합 : 5,200원(시가배당율 합 5.8%)

2024년 6월 말 : 1,200원(시가배당율 1.4%) 지급일 24.08.28

2024년 12월 말(배당기준일 : 25.02.28) : 4,200원(시가배당율 3.8%) 지급일 25.04.28(월)

->2024년 배당금 : 5,400원(시가배당율 합 : 5.2%)

KT&G배당금지급일(2024년 결산배당 안내 : 25.04.28 월)

KT&G배당금지급일은 홈페이지에도 나와있습니다.

25년 4월 28일 월요일이 KT&G 배당금지급일 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년이 넘는 시간동안 배당금이 꾸준히 증가해온 추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코로나19시기부터 배당이 5%가 넘었습니다.

1년에 2번 배당금 지급하는 반기배당주로도 매력이 있네요.

25년 3월 18일 사업보고서(KT&G)

케이티엔지의 최근 3년 간 평균 배당수익률은 5.6%,

최근 5년 간 평균배당수익률은 5.6%입니다.

(1999년 상장 이래로 26년 연속 배당 실시)

이상, 1년에 2번배당하는 반기배당주

KT&G 배당금 (지급일) 및 주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3년간 2.8조원 주주환원 한다고 하였는데

24년에 1.1조원의 현금환원으로 NI기준으로 총주주환원율이 99.4%라고 합니다.

(24년 TSR은 29.2%)

24년 4분기 경영실적 자료

 

위 내용은 별별의 개인적인 분석이므로 참고용으로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웃추가, 공감도 부탁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