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별별입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EV/EBITDA(이브이 에비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EV/EBITDA
#EV #EBITDA #이브이에비따
#네이버증권
EV/EBITDA
이브이 에비따
EV/EBITDA의 의미를 들여다 보려면
EV, EBITDA에 대해 각각 살펴봐야겠군요
EV(Enterprise Value)
EV는 기업의 가치입니다.
시가총액에 순차입금을 더하면 됩니다.
시가총액과 순부채를 더하면 기업의 총가치를 의미하기에
즉, 매수자 입장에서
기업을 매수할 때 지불해야 하는 금액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어떤 매수하고 싶은 기업을 매수했지만,
해당 기업의 은행 부채가 있다면
매수했을 때 그 부분은 온전히 내 지분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해당 기업을 매수했을 때
온전히 소유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업의 은행 부채 등을 상환해야 하며
총차입금을 상환할 때 현금으로 하기 때문에
현금을 차감합니다.
EBITDA(Earnings Before Interest, tax,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
EBITDA는 수익성 지표로
법인세, 이자, 감가상각비 차감 전 영업이익을 의미합니다.
기업의 영업이익을 비교적 객관적으로 보여주는 식으로
즉, 이자비용, 세금, 감가상각비용 등을 차감하기 전 순이익입니다.
감가상각비용을 더하는 이유는
영업활동을 통한 현금창출능력을 더 세심하게 들여다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에비타가 높다면
해당 기업은 현금 창출 능력이 높다는 의미로
수익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EV와 EBITDA를 조합해서
고평가 저평가 여부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EV/EBITDA는
기업의 가치(EV)를
세금,이자, 감가상각을 하기 전의 영업이익으로 나눈(EBITDA)로 나누면
기업의 적정 주가를 판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EV/EBITDA 낮다 -> 기업 가치 저평가
EV/EBITDA 높다 -> 기업 가치 고평가
어떤 기업을 매수했을 때 투자금을 회수하는 기간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Ex) EV =1,000억원,
EBITDA가 50억원인 기업이라고 가정한다면,
해당 기업을 매수하는데 1천억원이 들었지만(EV),
해당 기업이 50억 원씩 벌어들여 20년을 매년 벌어야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습니다.
EV/EBITDA=20의 의미는
해당 기업을 매수하면 투자금을 회수하는데 20년이 걸린다는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습니다.
EV/EBITDA 특징
①자산가치 구조 변화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음
EV는 자산과 부채를 모두 포함한 개념입니다.
EV/EBITDA는 순수 영업이익만을 계산하게 되어
세금이나 이자비용 등의 비영업적이고 일시적인 요인들을
제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재무구조가 다른 기업들 간에 비교하는데 좋은 지표입니다.
그리고 다른 산업간의 비교가 가능합니다.
감가상각방법이나 이자비용, 법인세가 포함되지 않아
해외기업과의 비교도 가능한 지표입니다.
따라서 M&A시장에서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②PER(주가수익비율)을 보완하는 지표
당기순이익을 가지고 판단하는 PER(주가수익비율)을
보완할 수 있습니다.
EV/EBITDA는 PER과 많이 비교됩니다.
(가격을 이익으로 나누는 관점에서 식이 비슷하기 때문)
당기순이익은 영업외 수익이나 일시적 수익도 포함될 수 있어
기업가치를 판단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Ex)어떤 기업이 부동산을 매각하여 일시적으로
당기순이익이 증가했다면 PER은 감소하게 됩니다.
하지만 EV/EBITDA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합니다.
한편, PER은 주가에 당기순이익을 나누지만
EV/EBITDA는 기업 매수가에 EBITDA를 나누면서
당기순손실이 발생하여도 계산이 가능합니다.
③EV/EBITDA의 왜곡도 있을 수 있음
EBITDA가
완전벽한 현금흐름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온전히 EV/EBITDA로만 기업 가치를 평가하는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실질적인 현금흐름을 나타내는 식이 아니기 때문)
또한 EBITDA에서 평소에 이자비용, 감가상각비, 세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큰 산업이나 기업이라면
해당 부분을 차감하는 EBITDA에서 EV/EBITDA의 왜곡이 생길 수 있습니다.
(감가상각비가 더 크다면 EBITDA가 과대 계상될 수 있음)
또한 장점이자 단점일 수 있는
부채를 반영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자비용이 큰 기업에서는 왜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증권에서 EV/EBITDA 살펴보기
네이버 증권에서 각 종목의
종복분석 -> 투자지표에 들어갑니다.

자료 : 네이버 증권
종목분석 -> 투자지표 항목에서
아래처럼 EBITDA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자료 : 네이버 증권
조금 더 내려보면 EV와
EBITDA 각각 연도별로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증권을 통해 삼성전자의
EV/EBITDA의 연도별로 살펴볼 수 있습니다.
(2023년 삼성전자 EV/EBITDA는 9.73)

자료 : 네이버 증권
각 증권신고서나 투자설명서에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LG에너지솔루션 증권신고서를 보면
EV/EBITDA를 통해 공모가액을 산출했습니다.

자료 : 2022년 1월 14일 투자설명서(LG에너지솔루션)

자료 : 2022년 1월 14일 투자설명서(LG에너지솔루션)

자료 : 2022년 1월 14일 증권신고서(LG에너지솔루션)
당시 투자설명서에
의의와 한계점도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자료 : 2022년 1월 14일 투자설명서(LG에너지솔루션)
이상, EV/EBITDA의 의미, 장점, 단점(ft.네이버증권)
을 알아보았습니다.
위 내용은 별별의 개인적인 분석이므로 참고용으로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웃추가, 공감도 부탁드립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액면분할 뜻과 효과 및 주식분할결정 공시 사례는? (0) | 2025.04.19 |
---|---|
5년간 4.9%인 고배당주 한국금융지주 배당금과 주가는? 우선주 (0) | 2025.04.19 |
노란우산공제 소득공제란? 이율 한도 이자 가입 혜택 정리 (0) | 2025.04.17 |
민방위 사이버교육 후기 3년차 4년차 훈련방법은? 과태료 연차 (1) | 2025.04.17 |
EV/EBITDA(이브이 에비타) 의미를 알아보자 (0) | 202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