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특례대출(디딤돌)이란?
신생아 특례 디딤돌 대출
:주택도시기금의 주택'구입'자금대출
-저출산 극복을 위해 최대 5억원까지 대출 지원
신생아특례대출은
저출산 극복을 위한 주거방안에 후속조치에 따르는데,
출산가구에 따라 최대 5억원의 주택구입자금 대출을 해주는 제도입니다.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3.12.27)
24년 1월 29일 신생아특례대출 신청이 접수되면서
당시 2월 4일까지 신청현황만 무려 9,600건에 이르러
대출지원 금액만 2조원이 넘어서 열기가 뜨거웠습니다.

주택도시기금(신생아 특례대출)
더 자세하게 알아봐야겠군요!
신생아 특례대출 대상
:대출접수일 기준 2년내 출산(23.1.1이후 출생아부터 적용)한 무주택 세대주 및 1주택 세대주(대환대출)
:부부합산 연소득 1.3억원 이하(맞벌이의 경우 2억원 이하), 순자산가액 4.88억원 이하
:대출접수일 기준 2년내 출산(23.1.1이후 출생아부터 적용)한 무주택 세대주 및 1주택 세대주(대환대출)
:부부합산 연소득 1.3억원 이하(맞벌이의 경우 2억원 이하), 순자산가액 4.88억원 이하
신생아 대출은 큰 틀에서 위와 같은 대상이지만,
세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주택을 취득하기 위해 주택매매계약을 체결한 사람이 대상이지만
상속이나 증여, 재산분할로 주택을 취득하는 경우는 불가함!
-대출 신청일 기준 2년 내 출산한 가구 기준인데
임신중인 태아는 미포함입니다.(출생아 입양한 경우 포함)

출산의 범위와 확인서류는?
-혼인신고를 하지 않고 자녀를 출산(입양)한 경우에도
대출취급이 가능하니 참고하세요:)
-세대주를 포함하여 세대원 전원 전원이 무주택자여야 합니다.
(*분양권이나 조합원 입주권도 주택 보유로 간주함)
-그리고 중복대출도 금지됩니다.
주택도시기금대출이나 은행재원 주택담보대출 미이용자여야 합니다.

중복대출 금지 사유
-신생아 특례대출 소득조건은
대출신청인과 배우자의 합산 총소득이 연간 1.3억원 이하여야 합니다.
맞벌이 부부의 경우 합산 총소득이 2억원 이하여야 하지만,
부부 각 1인의 소득이 1.3억원 이하여야 합니다.
-대출 자산 조건은 최근 통계청 소득 4분위 전체가구 평균값 이하인데,
2025년도 기준은 4.88억원입니다.
신생아 특례대출 금리
기본 5년 특례금리 : 1.6% ~ 4.3%
대출금리는 소득수준별로 금리가 차등되는데
특례금리 적용시 금리는 기본 5년으로,
1.6% ~ 4.3%입니다.

신생아 대출금리
만약, 대출접수일 기준 2년내 추가 출산한 자녀가 있다면
추가 출산 자녀당 특례기간 적용기간은 5년 연장 가능합니다.
(*최장 15년간 특례금리 이용 가능!!)

우대금리표(국토교통부 보도자료(24.11.28)
다음과 같이 청약통장이나, 부동산전자계약 체결 등은
우대금리가 있습니다.
(세부사항은 아래 이미지 참고)

신생아 특례 디딤돌대출 우대금리 7가지
기본 5년 특례금리 적용시에는 다음의 금리로 갑니다.
부부합산 연소득 8천5백만원 이하
:신혼부부 전용 구입자금 대출금리 수준으로 가산
부부합산 연소득 8천 5백만원 초과
:Min(한국은행 고시 예금은행 주택담보 대출 금리, 은행연합회 고시 시중은행 분할상환방식 주담대 최저금리)
특례금리 적용 종료시 금리 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특례금리 적용시 종료시 금리는? -25년 2월 기준
신생아 특례대출 디딤돌 한도는?
최대 5억원까지
최대 5억원까지
(LTV 70% 이내, DTI 60%이내)
-생애최초 주택구입 시 : LTV 80%, DTI 60% 이내
대출금액 한도는 매매(분양) 가격 이내로 하고,
대출총액은 매매가격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신생아 특례대출 디딤돌 기간은?
10년, 15년, 20년, 30년
10년, 15년, 20년, 30년 대출기간입니다.
상환 방법은 비거치 or 1년 거치
원리금균등분할상환, 원금균등분할상환 or 체증식상환입니다.
신생아 특례 디딤돌대출 유의사항은?
-인지세 : 고객과 은행 각 50% 씩 부담
-근저당권 설정비 : 은행부담(국민주택채권 매입비용 : 고객부담)
-감정비용 :고객이 직접 감정평가한 경우 고객이 부담,
가경정보나 국토부 공시가격이 없어서 감정하면 기금이 부담
만약, 대출계약을 철회하려면
기일 중 늦은날로부터 14일 이내에 대출계약이 철회 가능합니다.

대출계약 철회는 다음 중 늦는날로부터 14일이내 가능
그리고 신생아 특례 디딤돌 대출 차주는
대출받은 날로부터 1개월 내에 대출받은 주택에 전입하여
1년 이상 실거주를 유지해야 합니다.
만약, 정당한 사유 없이 전입하지 않거나,
1년 이상 실거주하지 않으면 대출금을 상환해야 합니다.
(*기존임차인의 퇴거지연, 집수리 등으로 2개월 전입 연장 가능)
24년 6월 19일 신규접수분 부터
대출기간 중 1주택을 유지해야 합니다.
만약, 대출실행 이후에 담보주택이외에
추가 주택을 취득한 사실이 확인되면 6개월 이내 추가주택을 미처분 시
대출금이 회수됩니다.
대출 신청 방법
-온라인: 기금e든든 홈페이지(우리/신한/국민/농협/하나)
-오프라인 : 은행방문 신청(우리/신한/국민/농협/하나)

신생아 특례대출 디딤돌 신청방법과 절차
이상, 신생아특례대출 조건, 금리, 기간, 한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작년 1월 29일부터 7월 30일까지
6개월 간 신생아 특례대출(디딤돌) 신청건수가 1만 9천여건
금액은 5조 4천억원대에 달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3월 24일부터 디딤돌대출금리가
수도권은 0.2% 오를 것 같습니다.(지방은 X)
디딤돌 대출 금리가 3월 24일부터 수도권의 대출금리가
1.6%~4.3%에서 1.8% ~4.5%로 높아진다고 합니다.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5.02.24)
신생아 특례 디딤돌 알아보시는 분이라면
3월 24일 이전에 서두르시는 것이 좋겠네요:)
자료 :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
국토교통부 보도자료참고(23.12.27), (24.11.28),(25.02.24)
위 내용은 별별의 개인적인 분석이므로 참고용으로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웃추가, 공감도 부탁드립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디어 파이코인 상장 했다던데 가격은 얼마? 23일 기준 2100원대(1.49$) 시가총액 공급량 (0) | 2025.02.24 |
---|---|
카카오페이 머니 및 포인트 특징 정리 ft.사용처 한도 (0) | 2025.02.24 |
종부세합산배제란? 임대주택 사원용주택 등 (0) | 2025.02.22 |
내쉬균형(Nash Equilibrium) 찾는 방법 합리적인 돼지게임 내시 (0) | 2025.02.22 |
부모님 용돈과 조카 세뱃돈 적정금액은 얼마? ft카카오페이 (0) | 2025.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