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로보어드바이저(RA) 뜻과 특징 ft 미래에셋증권 키움증권

by 별별의 경제적 자유 이야기 2025. 2. 12.
반응형

안녕하세요

별별입니다.

오늘은 로보어드바이저(RA)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로보어드바이저 #퇴직연금로보어드바이저

로보어드바이저란?

RA: 빅데이터, 알고리즘 등에 기반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동적으로 포트폴리오의 자문이나 운용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상 자산 관리서비스

로보어드바이저

빅데이터, 알고리즘 등에 기반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동적으로 포트폴리오의 자문이나 운용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상 자산 관리서비스입니다.

로보어드바이저(RA)는

로봇(ROBOT) + 어드바이버(ADVISER)를 합친 단어로

로봇의 자동화 의미와 금융자문의 어드바이저의

합성어입니다.

자산관리는 부자들만 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로보어드바이저를 통하여

낮은 비용을 지불하고 자산관리를 받아

포트폴리오 추천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AI가 고도화되면서 신뢰성이 높아지고

이제는 자산운용에도 적용될 수 있다니 놀랍습니다.

로보어드바이저에 대한 개념이 아직 널리 퍼지지 않은 것 같습니다.

믿고 맡기기에 어려움이 있는 것도 사실인 것 같습니다.

코스콤(KOSCOM)에서는 테스트베드센터를 설치하고

사업자들이 개발한 로보어드바이저 알고리즘의

유효성과 안정성을 검증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료 :금융감독원 보도자료(16.08.29)

인간의 개입 없이 100%

인공지능을 바탕으로 투자자문이나 자산운용을 하게 되어있는

알고리즘은 반드시 이 테스트베드를 통과해야 합니다.

로보어드바이저 장점과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낮은 수수료 및 최소가입금액

-> 전통적인 자산관리서비스도 낮은 수수료와

가입금액이 특징입니다.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이 장점입니다.

②온라인 기기를 통해서 서비스 이용 가능

-> 모바일 앱으로 최근 퇴직연금 RA(로보어드바이저)가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자료 :금융감독원 보도자료(16.08.29)

③프로그램 기반의 체계적인 포트폴리오 자문/일임서비스 제공

-> 투자자 성향을 분석하여

프로그램 기반의 포트폴리오를 산출합니다.

자료 :금융감독원 보도자료(16.08.29)

로보어드바이저가 활성화된다면

일반대중도 소액의 금액을 지불하고

자문이나 자산운용 인력을 점차 대체할 수 있기도 합니다.

투자에 대한 전문지식이 부족하거나

투자에 시간을 쏟기 어려운 투자자에게

로보어드바이저가 적합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RA운용자산(AUM) 규모는

2025년 2조 8,500억 달러에 육박할 것이라는

조사기관의 자료도 있습니다.

(출처 : https://www.cs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601739)

2019년 기준으로 미국이 77%의 비중을 차지한다고 합니다.

국내의 경우 미래에셋증권의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는

2022년 9월 첫 출시했는데

2024년 8월 말 약 2만 2천여명의 가입계좌 및

1조 6천억원대의 평가금액을 보였다고 합니다.

미래에셋증권, 키움증권 로보어드바이저는?

제가 자주 사용하는

미래에셋증권, 키움증권의 로보어드바이저를

살펴봐야겠습니다.

퇴직연금시장에서 미래에셋증권이

돋보적인 위치를 자랑합니다.

미래에셋 로보어드바이저를 먼저 살펴보면

미래에셋증권 로보어드바이저는

자산배분 & 상품선택 & 변경시점을 판단하는

세개의 모델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포트폴리오 운용 시스템입니다.

자료 : 미래에셋증권 앱

①나의 투자성향 & 계좌현황을 고려하여

맞춤형 포트폴리오를 제안하거나

②퇴직연금에서 연금자산을 진단하여 관리합니다.

자료 : 미래에셋증권 앱

참고로 미래에셋증권 로보어드바이저(RA)는

2017년에 특허를 획득했고,

2019년엔 테스트베드 심사를 통과했습니다.

 

자료 : 미래에셋증권 앱

참고로 테스트베드 통과를 하게 되면

전문인력 개입없이 RA가 자문하거나 고객자산을 직접 운용을 할 수 있고,

마케팅, 온라인보고서 원칙적 제공, 영업행위 감독이 허용됩니다.

자료 : 테스트베드 홈페이지(테스트베드 통과 효과)

키움증권의 로보어드바이저는 '키우GO'입니다.

키움증권의 로보어드바이저 키우GO도

투자목표달성을 위한 최적의 자산군 비중을 결정하고(전략적 자산배분),

세부 종목간 투자비율을 결정(전술적 자산배분)을 합니다.

 

자료 : 키움증권 앱(로보어드바이저)

고객의 '투자성향'과 '투자목표'에 따라 알고리즘에 따라

자산배분 전략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것인데,

사람이 하던 일을 컴퓨터가 쉽게 한다는 의미입니다.

 

자료 : 키움증권 앱(로보어드바이저)

매월 정기적으로 시장상황에 맞게 자산 비중을 재조정하며

현재 시장국면을 판단하여 자산비중을 수시로 조정한다고 하네요.

이상, 로보어드바이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투자 포트폴리오도 AI가 하는 시대라니 참 신기합니다.

자료 : 금융감독원 보도자료 참고(16.08.29; 19.05.15) 참고

미래에셋증권, 키움증권 홈페이지, 테스트베드 홈페이지 참고

 

위 내용은 별별의 개인적인 분석이므로 참고용으로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웃추가, 공감도 부탁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