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중위소득이란?
-100명의 소득을 줄을 세운다고 가정하면 소득규모 순으로 50위의 소득
-통계청 표본조사를 통해 매년 8월 1일까지 발표
기준 중위소득이란?
보건복지부 장관이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 의결을 거쳐서 고시하는 국민 가구소득의 중간값입니다.
(*중앙생활보장위원회 :기초생활보장 주요 정책을 심의 의결하는 곳)
즉, 100명의 소득을 줄을 세운다고 가정하면
소득규모 순으로 50위의 소득입니다.
통계청 표본조사를 통해
매년 8월 1일까지 발표하고 있으며
보건복지 홈페이지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HS90R/btsLIFCI9mn/ysfD02IfNESR0fUhXntie0/img.png)
보건복지부 홈페이지(매년 8월 1일 2
통계청에서 매년 표본조사를 통한 전년도의 중위소득을 발표하지만,
중앙생활보장위원회가 매년 8월 1일까지
차년도의 기초생활보장 급여별 선정기준, 최저보장수준을 심의 의결해야 하기에
내년도의 중위 소득을 결정하여 활용하고 있습니다.
중위소득은 평균소득과는 다른개념입니다.
예를 들어 각 가구 당 소득이
100만원, 200만원, 300만원, 400만원, 1,000만원의 소득이라고 가정합니다.
가구의 월소득은 총합쳐서 2천만원이며
5로 나누면 400만원의 평균소득이 계산됩니다.
자료 : 보건복지부 홈페이지(기준중위소득 의미 및 계산)
반면, 기준중위소득계산을 해보면
중간 순위 300만원으로 중간값입니다.
만약 극단적으로 5가구의 소득이
100만원, 200만원, 300만원, 400만원, 5천만원이라고 하면
평균소득은 1,200만원이 되어 평균소득이 크게 올라갑니다.
즉, 중위소득은 소득분포의 중간값을 파악하는데 유리합니다.
(*소득격차가 큰 상황에서도 다수의 사람들에게 공정한 지원을 하기 위함)
![](https://blog.kakaocdn.net/dn/bNZIpf/btsLIaJ1vl1/gFcW4SrPqiPCF6kSIe15dK/img.png)
자료 : 보건복지부 홈페이지(기준중위소득 의미)
이러한 기준 중위소득은
기초생활보장제도를 포함해 74개 복지 사업의 수급자 선정 수준 등에 활용됩니다.
그렇다면 2025년 기준중위소득을 알아봐야겠네요.
2023년 기준 중위소득은 4인 가구 기준으로 540만 964원었고,
2024년 기준중위소득은 4인가구 기준으로 572만 9,913원입니다.
(*13.16%로 역대 최대수준 인상)
![](https://blog.kakaocdn.net/dn/CuZyZ/btsLJugb4NF/beWvMGRqTSdw90ykcJ7Dz0/img.png)
자료 : 보건복지부(중앙생활보장위원회 2024년 기준 중위소득)
2025년 기준중위소득 5인가구는 609만 7,773원입니다.
(*전년 대비 6.42%인상)
![](https://blog.kakaocdn.net/dn/3fgmb/btsLJkkBLsj/SU1nC7R9o72D3hBFkaSe20/img.png)
자료 : 보건복지부(중앙생활보장위원회 2025년 기준 중위소득)
위 자료를 토대로 가구별 2025년 기준중위소득은 다음과 같습니다.
1인가구 중위소득 : 239만 2,013원
2인가구 중위소득 : 393만 2,658원
3인가구 중위소득 : 502만 5,353원
4인가구 중위소득 : 609만 7,773원
5인가구 중위소득 : 710만 8,192원
6인가구 중위소득 : 806만 4,805원
![](https://blog.kakaocdn.net/dn/4ghdD/btsLHuWwLbz/9K19HH9w6Arw68gCJc3wHk/img.png)
보건복지부 보도자료(기준중위소득 연도별 표)
중앙생활보장위원회에서는 2025년 중위소득을 활용하여
2025년도 각 급여별 선정 기준 및 최저보장 수준도 확정합니다.
급여별 선정기준이란 기준 중위소득 대비 일정비율을 적용하여 결정되는데
기준 중위소득 대비하여 생계급여는 32%, 의료급여는 40%,
주거급여는 48%, 교육급여는 50% 이하에게 지급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mY6f2/btsLJDD9XUG/55AzTXTyB9UM65gA18YXhk/img.png)
자료 : 보건복지부(중앙생활보장위원회 2025년 급여별 선정기준)
예를 들어 생계급여 대상자는 기준 중위소득의 32%로
2024년에는 월 183만원을 받았지만,
2025년에는 중위소득이 올라서 월 195만원을 수급하게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yK8iW/btsLIiVAwjZ/uE28INCIAkOSXJwPPfrM70/img.png)
보건복지부 보도자료(생계급여 예시)
교육급여도 아래와 같이 2024년 교육급여 수급자의
교육활동비가 연 65만 4천원이었다면 중위소득이 인상되어
2025년부터는 67만 9천원을 수급하게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zsGaO/btsLIiBh1X4/xpiMAvR1P3suEn47j4Kqqk/img.png)
보건복지부 보도자료(교육급여 예시)
#2025년기준중위소득 #중위소득개념 #중위소득뜻
#기준중위소득50% #기준중위소득80% #기준중위소득100% #기준중위소득계산
#기준중위소득120% #기준중위소득150% #기준중위소득180% #2024년중위소득
![](https://blog.kakaocdn.net/dn/bD1YrD/btsLIWEew7r/XP410NJK71a3yKXIARFx4k/img.png)
기준중위소득배율 표
-기준중위소득50% -기준중위소득60% -기준중위소득70%-기준중위소득80%
-기준중위소득100% -기준중위소득120% -기준중위소득150% -기준중위소득180%
기준 중위소득이 선정 기준에 활용될 때
배율이 곱해지기 때문에 많이 활용되는 기준중위소득배율을 계산해보고자 합니다.
[2025년 기준중위소득 50%]
2025년 기준중위소득100%에 50%를 곱하여 산출됩니다.
기준중위소득 50% 1인 가구 :1,196,007원
기준중위소득 50% 2인 가구 : 1,966,329원
기준중위소득 50% 3인 가구 : 2,512,677원
기준중위소득 50% 4인 가구 : 3,048,887원
기준중위소득 50% 5인 가구 : 3,554,096원
기준중위소득 50% 6인 가구 : 4,032,403원
[2025년 기준 중위 소득 60%]
2025년 기준중위소득에 60%를 곱하여 산출됩니다.
기준중위소득 60% 1인 가구 : 1,435,208원
기준중위소득 60% 2인 가구 :2,359,595원
기준중위소득 60% 3인 가구 : 3,015,212원
기준중위소득 60% 4인 가구 :3,658,664원
기준중위소득 60% 5인 가구 : 4,264,915원
기준중위소득 60% 6인 가구 : 4,838,883원
[2025년 기준 중위 소득 70%]
2025년 기준중위소득에 70%를 곱하여 산출됩니다.
기준중위소득 70% 1인 가구 : 1,674,409원
기준중위소득 70% 2인 가구 : 2,752,861원
기준중위소득 70% 3인 가구 : 3,517,747원
기준중위소득 70% 4인 가구 : 4,268,441원
기준중위소득 70% 5인 가구 : 4,975,734원
기준중위소득 70% 6인 가구 : 5,645,364원
[2025년 기준 중위 소득 80%]
2025년 기준중위소득에 80%를 곱하여 산출됩니다.
기준중위소득 80% 1인 가구 : 1,913,610원
기준중위소득 80% 2인 가구 : 3,146,126원
기준중위소득 80% 3인 가구 : 4,020,282원
기준중위소득 80% 4인 가구 : 4,878,218원
기준중위소득 80% 5인 가구 : 5,686,554원
기준중위소득 80% 6인 가구 : 6,451,844원
[2025년 기준 중위 소득 100%]
기준중위소득 100%1인 가구 : 2,392,013원
기준중위소득 100%2인 가구 : 3,932,658원
기준중위소득 100%3인 가구 : 5,025,353원
기준중위소득 100%4인 가구 : 6,097,773원
기준중위소득 100%5인 가구 : 7,108,192원
기준중위소득 100% 6인 가구 : 8,064,805원
![](https://blog.kakaocdn.net/dn/cyaL2E/btsLKczkrH5/0Eqr2lpLWPXVzTdKJfdflk/img.png)
보건복지부(2025년기준중위소득) 올해 4인가구 100%중위소득은 609만원..!
[2025년 기준 중위 소득 120%]
2025년 기준중위소득에 120%를 곱하여 산출됩니다.
기준중위소득 120% 1인 가구 : 2,870,416원
기준중위소득 120% 2인 가구 : 4,719,190원
기준중위소득 120% 3인 가구 : 6,030,424원
기준중위소득 120% 4인 가구 : 7,317,328원
기준중위소득 120% 5인 가구 : 8,529,830원
기준중위소득 120% 6인 가구 : 9,677,766원
[2025년 기준 중위 소득 150%]
2025년 기준 중위소득에 150%를 곱하여 산출됩니다.
기준중위소득 150% 1인 가구 : 3,588,020원
기준중위소득 150% 2인 가구 : 5,898,987원
기준중위소득 150% 3인 가구 : 7,538,030원
기준중위소득 150% 4인 가구 : 9,146,660원
기준중위소득 150% 5인 가구 : 10,662,288원
기준중위소득 150% 6인 가구 : 12,097,208원
[2025년 기준 중위 소득 180%]
2025년 기준 중위소득에 180%를 곱하여 산출됩니다.
기준중위소득 180% 1인 가구 : 4,305,623원
기준중위소득 180% 2인 가구 : 7,078,784원
기준중위소득 180% 3인 가구 : 9,045,635원
기준중위소득 180% 4인 가구 : 10,975,991원
기준중위소득 180% 5인 가구 : 12,794,746원
기준중위소득 180% 6인 가구 : 14,516,649원
![](https://blog.kakaocdn.net/dn/DAvCq/btsLJtn3FiQ/VX8BxvIQN2NG2dCUcZlcMK/img.png)
이상, 2025년 기준 중위소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자료 :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참고
위 내용은 별별의 개인적인 분석이므로 참고용으로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웃추가, 공감도 부탁드립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합소득세자녀세액공제 5만원 증가 및 손자녀추가되었어요 (0) | 2025.01.10 |
---|---|
무직자소액대출 가능한 곳은? 1금융권 정부기관 (0) | 2025.01.10 |
전산회계 1급,2급 시험과목 합격률은? (0) | 2025.01.10 |
혜택좋은신용카드 비교 후 하나원큐카드 발급 후기 남겨요 (0) | 2025.01.10 |
2024 세계 항공사 순위 100위까지 SKYTRAX (0) | 2025.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