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세금통장 만드셨나요? 저는 400만원 케이뱅크 플러스박스(파킹통장) 준비! ft비상금통장

별별의 경제적 자유 이야기 2025. 6. 21. 09:56
반응형

5월 종합소득세 세금통장 만드셨나요?

비상금통장 개념의 세금통장 중요!

-파킹통장으로 넣으면 이자까지 챙길 수 있음

안녕하세요 별별입니다~!

저는 5월 종합소득세 낼 시기가 다가오면

큰 돈을 마련해야한다는 생각에

마음 한편으로는 살짝 긴장이 되긴 합니다.

그래서 저만의 비상금통장인

세금통장을 만들어서 이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근로소득자라면 원천징수로 회사에서

월급에서 따박따박 세금을 제하고 세후로 통장에 월급을 내주지만,

프리랜서, 사장님들이라면

평소 수익이 발생한다면 일정부분은

비상금통장 개념으로 세금통장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기타수익이나 부수입, 사업소득이 발생하며,

배당소득, 이자소득 2천만원 초과로 금융소득까지 발생하게 되면

갑자기 큰 돈을 마련하기가 쉽지 않아 세금통장(비상금통장)을

마련하게 되었습니다.

월급 받으면 카드값나갈 때 같이 텅장처럼 세금통장으로 이체처리

비상금통장을 마련하게 되면

평소에 여유될 때 일부 따로 떼어내어 이체처리해야 합니다.

그리고 1년에 필요한 1,2번 이체처리할 때

비상금통장(세금통장)에서 큰 돈을 처리하면 마음이 편하기 때문입니다.

2월 연말정산 환급금 들어왔을 때도 곧바로 330만원 세금통장으로 이체!

저는 보통 2월에 연말정산환급 받으면

비상금통장에 넣고, 월급 나올때, 여유돈 있을 때

이렇게 이체처리 해왔습니다.

21일 월급+연말정산 때 350만원 이체처리!

그래도 2달 넘게 420만원 넘는 돈이 제 비상금 통장에 모였군요!

파킹통장으로 만들면 이자까지 챙길 수 있음!

저는 2.0%의 케이뱅크 플러스박스로 준비했음

이렇게 케이뱅크 플러스박스 파킹통장에

약 420만원이 쌓였습니다.

 

케이뱅크 플러스통장(파킹통장)에 423만원 입금처리 함

은근히 투자나 저축안하고 모으기 쉽지 않았지만,

5월에 갑자기 큰 돈을 일시로 내려면

이렇게 미리미리 준비해야 마음이 편합니다.

사업자나 프리랜서, 5월 종소세 내시는 분들도

금액이 크다면 이렇게 준비하시길 개인적으로 추천드려요:)

참고로 파킹통장이란,

주차장에 차를 넣고 빼듯이 자유롭게 돈을 운용할 수 있는 수시입출금 상품입니다.

예금통장처럼 자유롭게 넣고 뺄 수 있는 장점이 있는데

일반적인 예금통장 이자가 0.1%~0.5%라면

파킹통장 금리는 2%가까이되서 인기가 많습니다.

저는 파킹통장 금리를 비교해보고

케이뱅크로 비상금통장을 준비했는데요

(찾아볼 때마다 인터넷은행에서는 케이뱅크가 금리가 제일 높더라구요)

 

케이뱅크 플러스박스(파킹통장) 금리는?

케이뱅크 파킹통장은

5천만원 이하는 세전 연 2.0%

5천만원 초과~ 1억 5천만원은 세전 연 2.5%까지

고금리를 제공합니다.

저의 세금통장 개념의 특징은

수백만원의 금액이 한 통장에 수개월 계속 묶여있다는 점입니다.

(비상금 통장처럼 저축의 개념이 큼)

따라서 2,3,4월 동안

300~400만원의 돈이 파킹통장에 들어가 있기 때문에

비상금통장에도 이자가 쌓이게 되서

고금리 파킹통장이 세금통장으로 적합하더라구요.

이렇게 423만원의 이자가 쌓일 때마다

이자 받기를 하게 되면 복리로 이자를 바로 받아서

원금 + 이자에 또 이자를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케이뱅크 이자 받기!

 

플러스박스로 시간 날때마다

이자입금처리를 했더니 아래와 같이 이자가 쌓이더라구요ㅎㅎ

 

케이뱅크 파킹통장 이자입금 후기

간단하게 파킹통장 이자시나리오를 계산해보면..

1백만원부터 1천만원까지

케이뱅크 파킹통장 금리 2%로 계산해봤습니다.

원금(2% 가정)
1개월 이자
3개월 이자
6개월 이자
1년 이자
1,000,000
1,644
4,932
9,863
20,000
1,500,000
2,466
7,397
14,795
30,000
2,000,000
3,288
9,863
19,726
40,000
2,500,000
4,110
12,329
24,658
50,000
3,000,000
4,932
14,795
29,589
60,000
3,500,000
5,753
17,260
34,521
70,000
4,000,000
6,575
19,726
39,452
80,000
4,500,000
7,397
22,192
44,384
90,000
5,000,000
8,219
24,658
49,315
100,000
5,500,000
9,041
27,123
54,247
110,000
6,000,000
9,863
29,589
59,178
120,000
6,500,000
10,685
32,055
64,110
130,000
7,000,000
11,507
34,521
69,041
140,000
7,500,000
12,329
36,986
73,973
150,000
8,000,000
13,151
39,452
78,904
160,000
8,500,000
13,973
41,918
83,836
170,000
9,000,000
14,795
44,384
88,767
180,000
9,500,000
15,616
46,849
93,699
190,000
10,000,000
16,438
49,315
98,630
200,000

저는 3개월 간 3~4백만원을 파킹통장에서 유지했기 때문에

이자가 2만원 가까이 된 셈이네요.

파킹통장(세금통장) 이자 시나리오 (연 2%, 한달은 30일로 가정)

금액이 1천만원 가까이 된다면

이자가 5~10만원 가까이 쌓이게 됩니다.

비상금통장에 수백만원이 수개월 째 보관되기 때문에

고금리의 파킹통장이 괜찮습니다.

저는 저축을 모두 주식투자로 하기 때문에

주식투자개념으로 주식을 사서 세금낼 때

매도하고 낼까? 싶었지만,,

막상 세금 낼 때 내 자산을 팔고 낸다는 인식이 강해져

비상금통장에서 마음편하게 내는 것이 편하겠더라고요.

수년 째 이렇게 파킹통장으로

5월 종소세 세금을 대비하고 있는데

평소에 여유금을 입금하고,

경조사나 큰돈이 필요할 때 인출해서 쓰면 꽤 괜찮습니다!

이상, 파킹통장으로 세금통장(비상금통장)

5월 종소세 대비하는 후기 정리해봤습니다.

5월 종소세 내시는 분들!!

사업하시는 분들이나 프리랜서분들

비상금 통장으로 저처럼 대비해보면 마음이 편합니다.

 

위 내용은 별별의 개인적인 분석이므로 참고용으로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웃추가, 공감도 부탁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