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자금 얼마가 평균? 비용 부담은 어떻게? 신혼여행 국내 해외
2025년 결혼자금 비용은 얼마?
결혼자금은 총 3억 6,173만원
(듀오 2025 결혼비용 보고서 기준)
최근 3년 내 결혼 및 현재 결혼준비자 335명은 평균 2억 1,227만원을
결혼자금 비용으로 생각(하나경영연구소 2025 보고서 기준)

듀오의 2025년 결혼자금에 대한 비용보고서가 발간되어 살펴보고자 합니다.
(*듀오는 결혼자금 비용 보고서 매년 발간하고 있음)
듀오에서
1,2년차 신혼부부 1천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는데
총 결혼자금은 3억 6,173만원이라고 합니다.

듀오(결혼자금은 3억 6,173만원이라고 하네요)
총 결혼자금 비용 3억 6,173만원 중에서
신혼집이 3억 407만원으로 가장 많이 차지했습니다.
"2025년 보고서 기준, 총 결혼자금 비용은?"
-신혼집 : 3억 408만원(84.06%)
-혼수 : 1,456만원(4.03%)
-예식홀 : 965만원(3.87%)
-예단 : 770만원(2.67%)
-에물 : 591만원(2.13%)
-웨딩패키지 : 441만원(1.22%)
-이바지 : 141만원(0.39%)
이중 신랑이 2억 1,277만원으로 약 59%를 부담했고,
신부 41%로 1억 4,896만원을 부담했다고 합니다.
전년에는 2억 4,299만원이었는데 약 6천만원이나 상승했다고 합니다.
결혼자금 중에서 신혼집이 가장 비중이 많이 차지하는데,
전세가 43.7%로 일반적이었고 자가는 37.8%였다고 합니다.
월세 9.3%, 반전세 6.4%입니다.
신혼 주택 유형은 아파트가 81.7%로 가장 많이 차지했고,
빌라 7.9%, 일반주택 5.3%, 오피스텔 5%입니다.
결혼자금에서 아파트 비용이 가장 많이 차지했고,
결혼 비용에서 집(84.06%)을 제외한 총 5,765만원 비중은 15.94%입니다.

이중에서 혼수의 비중은 가구 : 침대 97.4%,
대형가전 : 냉장고 88.1%, 소형가전 : 청소기 50.6%의 비중이 가장 많았습니다.
코로나19 시기인 2020년만 하더라도
결혼자금 비용은 1억 5,332만원이었습니다.
(이 때에도 신혼집이 1억 800만원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

출처 : 듀오(2020결혼비용 실태 보고서)
2025대한민국금융소비자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3년 내 결혼 및 현재 결혼준비자 335명은 평균 2억 1,227만원을
결혼자금 비용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서울과 수도권은 이외 지역보다 결혼자금을 25% 더 지출하는 경향을 보임)

2025대한민국금융소비자 보고서(하나경영연구소)
금액의 평균 수치라서
결혼 자금 1억원 미만으로 시작하시는 분들도 37%이며,
1억원~3억원 결혼자금으로 결혼생활을 시작하는 분들이 32.5%입니다.
5억원 이상으로 결혼을 시작하는 비율은 30.5%입니다.

2025대한민국금융소비자 보고서(하나경영연구소) 결혼비용 마련 방법은?
결혼할 때 많은 분들은
결혼자금의 81%가 부부자력으로 마련할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결혼을 이미 한 사람들은 자력 충당 비중이 76%라 생각과 현실은 조금 다름..)
물론 이 자력도10명 중에 6명은 대출을 활용을 하였고,
이 6명 중에 4명은 또 절반 이상을 대출 자금으로 마련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2025대한민국금융소비자 보고서에 따르면
미혼 35세의 경우 자가보유율은 33%이며, 가구 자산은 2,500만원 수준입니다.
(신혼 3년차는 가구 자산이 3,200만원, 자가보유율 37%)
추후 연령이 높아지면서 자가 보유율도 높아지고, 가구자산도 증가합니다.

2025대한민국금융소비자보고서(하나경영연구소)
결혼 신혼여행지 해외 80% 국내 20%
KB국민카드 DataRoot 기준
결혼자금 이후에도 신혼여행 비용도
만만치 않습니다.
결혼 신혼용여행지 설문조사도 찾아보았는데요.
KB국민카드에서 결혼추정회원의
신혼여행지를 조사한 바 있습니다.
2023년 기준으로 1,2,3분기 평균으로
국내 신홍여행지가 20%, 해외 신혼여행지가 80%입니다.

KB국민카드 Dataroot(신혼여행지 국내 해외 어디?)
해외여행(단거리)는 동남아/동남아시아/대양주 등 20개국인데 비중이 34~47%였고
해외여행(장거리) : 유럽, 미주 등 19개국인 비중이43%~47%수준이었습니다.
국내의 경우 2022년 자료인데,
코로나19때문에 그런지
국내 제주비중이 22년 1분기에 58%, 해외 비중이 42%였습니다.
2022년 4분기에는 제주비중이 28%로 낮아졌습니다.
가연의 2024결혼리포트에 따르면
신혼여행 장소는 국내 제주도 23.5%, 기타지역 11.4%입니다.
해외는 동남아시아 18.8%, 유럽 17.2%, 미국 13.1%, 기타지역 10.6%라고 하네요.

출처 : 가연(신혼여행 장소)
이상, 결혼자금 얼마가 평균, 신혼여행 장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자료 : KB국민카드 DataRoot 참고, 듀오 블로그 및 홈페이지, 가연 홈페이지 참고
하나금융연구소 2025대한민국금융소비자보고서 참고
위 내용은 별별의 개인적인 분석이므로 참고용으로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웃추가, 공감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