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송아지 소 한 마리 가격은? 한우 닭 돼지 계란

별별의 경제적 자유 이야기 2025. 2. 22. 12:38
반응형

한우는 고조선 시대부터 우리민족과 함께 해왔는데,

기원전 2천년 경 전부터 농경이나 운반 등의 역용으로 사육해오던

재래종 소로, 부산물은 약재나 의복, 장식용 등으로 활용되어 왔습니다.

한우는 가축이기 이전에 식구(食口)로서 대접을 받아왔고,

우리나라 농경민족의 애환이 담겨있어 농가 재산목록 1호이자,

잔치의 풍성함, 신토불이 음식의 대명사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한우)

원래 한우는 검정소, 누렁소, 얼룩소 등의 다양한 모습이었으나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다양성이 사라졌고,

현재는 황갈색의 한우만 남게 되었습니다.

(현재는 1등급 이상 출현율이 75% 일정도로 고품질화 됨)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한우)

농기계보급 확대로 역용우로서의 효용보다는

고품질의 쇠고기를 공급하는 육용우로 효용이 커지게 되었습니다.

한우 일대기를 살펴보면

14개월령 250kg 이상 암소 or 새끼를 생산한 어미소에게

보증종모우의 정액을 주비하여 교배(수정)합니다.

수정 후 소의 태내에서 285일 정도 지나면 20kg 전후의 새끼를 낳게 됩니다.

송아지 뜻 : 분만 후 6개월령까지의 어린 소

육성우 : 송아지가 성장하여 12개월령까지 체중 250~300kg 정도 중소

성우 : 다자란 소(수소, 암소)

참고로 한우 평균 출하체중 696kg 소에서

생산된 살코기량은 평균 273kg 정도 된다고 합니다.

(*갈비 53klg, 양지 40kg,등심 34kg, 안심 7kg순)

우니라나 한우 사육호수는 8만호 정도에,

사육두수는 326만 정도 됩니다.

(*호당 평균사육두수는 40여두)

축산물이력제 데이터랩(한우 현황)

 

2022년 기준으로 한우 산업 규모는 약 13조원대,

한우 농가소득은 비육부문이 9,582억, 번식부문이 1조 5,929억원입니다.

한우 농가 평균소득은 2,917만원으로 월환산 시 243만원입니다.

전국한우협회 - 2022년 한우 전후방산업규모

한우 돼지 닭 가격은?

소 한마리 가격은?

농협 축산정보센터에 가면

한우, 돼지, 닭 가격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2024년 기준 월별 산지가격 동향으로

한우, 돼지, 육계 계란 '평균'가격 입니다.

농협 축산정보센터(월별산지가격 동향)-2024년

송아지(4~5월령) 평균 가격

암송아지 가격 : 223만 4천원

수송아지 가격 : 299만 3천원

송아지(6~7월령) 평균 가격

암송아지 가격 : 240만 6천원

수송아지 가격 : 354만 1천원

한우 350kg 소한마리 평균 가격

한우 350kg 암소 가격 : 276만 5천원

한우 350kg 수소 가격: 354만 1천원

한우 600kg 소한마리 평균 가격

한우 600kg 암소 가격 : 474만 8천원

한우 600kg 수소 가격 : 392만 2천원

돼지 비육돈(110kg) 농가수취 평균 가격

돼지 한마리 가격 44만 2천원

닭 육계 1kg :1,566원

계란 특란 10개 : 1,635원

 

농협 축산정보센터(월별산지가격 동향)-2025년

2025년 최신 가격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수송아지는 암송아지보다 성장속도가 빠르고

근육량이 많아서 고기의 생산량이 높은 편입니다.

즉, 같은 기간 동안에 더 많은 체중 증량이 가능하여 고기용(비육우)로 사용됩니다.

소전국도매가격입니다.

2024년 연평균가격으로 소전국도매가격은 1kg 당 16,482원입니다.

조금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2024년 한우 1++ 도매가격은 kg당 20,247원,

한우 1+ 도매가격은 17,001원, 한우 1 도매가격은 15,168원,

한우 2도매가격은 12,056원입니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 : 한우 도매가격-2024년

이상, 한우 및 소 한마리 가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한우 송아지 1마리 가격에 대한 최신 내용은 아래

한우 가격 사이트를 참고하세요~!

https://livestock.nonghyup.com/frdist/mptList.do

참고로

2025년도 한우 도매가격은 24년 대비 상승이 전망된다고 합니다.

중장기적으로 사육 마릿수는 24년 333만 2천마리에서

-> 26년 311만 마리로 줄어들 전망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 (2025년 한우 관측 전망)

자료 : 농협 축산정보센터 ,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 참고

 

위 내용은 별별의 개인적인 분석이므로 참고용으로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웃추가, 공감도 부탁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