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소비기한 표시제도, 유통기한 정리!도입이유 경제적 효과

별별의 경제적 자유 이야기 2024. 11. 21. 17:17
반응형

안녕하세요~

별별입니다.

오늘은 개인적으로 궁금했던

소비기한 유통기한에 대해

알아보고 경제적효과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소비기한 #유통기한

#소비기한 표시제도


"소비기한 표시제도"

유통기한은 1985년 도입되었습니다.

유통기한은

소비자에게 식품을 판매할 수 있는 최종기한의 의미입니다.

하지만, 식품 기술의 발달과 유통체계가 발전하면서

식품의 섭취기간이 유통기한 도입 때보다

더 남았음에도 음식물을 폐기하게 되었습니다.

자료 : 식품안전정보원 홈페이지

유통기한이

식품의 맛, 품질 등이 급격히 변하는 시점을

설정실험 등으로 산출한 품질안전한계기간의 60~70%로 설정한 것이라면,

소비기한은 80~90%로 설정한 것입니다.

그래서 24년 1월부터 유통기한 대신에

소비기한 표시제도가 전면 시행되었습니다.

 

자료 : 식품의약품안전처 보도자료(23.12.28)

소비기한(USE by date, Expiration date, EXP,E)이란

식품 등(건강기능 식품 포함)에 표시된 보관방법을 준수할 경우

섭취하여도 안전에 이상이 없는 기한을 의미합니다.

포장지변경을 급하게 바뀌기 어렵고,

스티커 부착 등의 자원낭비와 비용부담 우려로

2023년은 소비기한 표시제 계도기간이었습니다.

계도기간(23년)동안,

소비기한 표시 전환률이

2월 34.8%에서 11월 94.2%로 증가하였습니다.

참고로 계도기간 중 생산되어

유통기한을 표시한 제품은

2024년 소비기한이 전면 시행되더라도

표시된 기간까지는 판매가 가능합니다.

자료 : 식품안전정보원 Q&A

따라서 유통기한 표시제품과 소비기한 표시제품이

혼재되어 유통될 수 있습니다.

소비기한 표시제도의 도입 이유?

 

소비기한 표시제도의 도입 이유는

1)식품폐기물감소2)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함입니다.

(소비자 정보제공, 국제적 추세, 환경 편익 등의 이유도 있음)

실제로도 국제식품규격위원회는

2018년 소비자 오인의 이유로 유통기한을

식품의 표시 규제에서 삭제했습니다.

식품에 제조일로부터 유통/판매의 허용된 기간인

영업자 중심의 '유통기한'보다는

식품의 안전한 섭취 기한을 알려주는

소비자 중심의 '소비기한' 표시제도가 시행되는 것입니다.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

자료 : 식품의약품안전처 홈페이지

소비기한 표시제도의 도입 경제적 효과?

소비기한 표시제도로 소비자 입장에서

식품의 선택권을 확대할 수 있게되었습니다.

또 연간 유통기한의 음식물 폐기의 경제적 손실인

연 5,308억원을 줄일 수 있습니다.

(출처 : 한강타임즈http://www.hg-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249258)

원래 소비기한 표시제도 시행으로

식품의 폐기 감소로

연간 소비자는 연 8,860억원, 산업체는 260억원의 편익이 발생하기 때문에

10년간 편익으로 소비자 7조 3천억원,

산업체 2,200억원의 경제적 기대효과가 있습니다.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

자료: 식품안전정보원 홈페이지

이상, 유통기한, 소비기한 표시제도를 알아보았습니다.

참고로 소비기한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

자료 : 식품안전정보원 홈페이지

자료 : 식품의약품안전처 홈페이지, 식품안전정보원 홈페이지

위 내용은 별별의 개인적인 분석이므로 참고용으로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웃추가, 공감도 부탁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