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연말정산 달라지는 내용 정리! 개정세법 소득공제 세액공제 기부금
안녕하세요~
별별입니다.
곧 연말정산 시즌입니다.
이번 연말정산 시즌부터 달라지는
개정세법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고자 합니다.

#연말정산달라지는내용 #개정세법 #연말정산
"이번 연말정산부터 달라지는 내용?
(ft.개정세법)"
벌써 연말정산이 다가옵니다.
2023년 10월 31일부터
연말정산 미리보기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자료 : 국세청 보도자료(23.10.31)
그렇다면 이번 연말정산부터
달라지는 소득공제,세액공제 내용이 있는지
간략하게 몇 가지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①기부금 세액공제 달라지는 내용 : 고향사랑기부금, 노동조합 조합비
2023년 고향사랑기부금이 신설되었습니다.
자신 거주지역 이외의 지방자치단체에 기부한 금액에 대하여
세액공제가 됩니다.
기부금액 : 10만원 이하 : 100/110
(지방세 포함 전액 세액공제, 30% 답례품 제공)
기부금액 10만원 초과 : 15%(500만원 한도)
딱 10만원 기부시, 10만원 100% 모두 세액공제가 됩니다.
(연말정산 시에 자동적으로 국세청에 등록되기 때문)
제가 올해 고향사랑 기부제 포스팅 했던 내용입니다.
들어가서 한 번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저는 올해 2번 고향사랑기부제로 10만원+8만원 기부를 했습니다.
10만원은 그대로 세액공제가 되며,
10만원 초과분 8만원은 16.5%만 세액공제가 되어
2만원 + 13,200원= 총 33,200원의 세액공제가 될 것 같습니다.
(즉 18만원 기부해서, 133,200원 세액공제 예정+답례품 수령)
10만원 기부하면
좋은일도 하고 세액공제 받고 답례품도 받을 수 있어서
저는 가족에게 추천해봤습니다.
기부금 세액공제에서는
고향사랑기부금 신설 이외에
노동조합 조합비에서 변경된 내용이 있습니다.
소속된 노동조합이 11월 30일까지 결산결과를 공시한다면
2023년 10월 ~ 12월에 납부한 조합비 15%가 세액공제 가능합니다.
(*1천만원 초과 30%)
참고로 2023년 1월 ~9월 납부한 조합비는
결산결과 공시와 관계없이 세액공제되며,
소속된 노동조합에는 총연합단체,
연합단체, 단위노동조합, 산하조직을 포함합니다.
②신용카드 등 소득공제 : 영화관람료 문화비, 대중교통 공제율
총급여 7천만원 이하라면
7월 1일 이후에 지출하는
영화관람료는 문화비에 포함됩니다.
(아래 이미지 참고)

자료 : 문화비 소득공제 홈페이지
그리고 2023년 대중교통 사용분은
40%에서 80%로 공제율이 상향됩니다.

자료 : 22년 세제개편안(기획재정부)
그리고 바뀌는 세법으로
총급여 기준 7천만원 초과, 이하가 단순화되면서
기본공제한도가
총급여 7천만원 이하는 300만원,
총급여 7천만원 초과는 200만원으로 바뀌게 됩니다.

자료 : 국세청 보도자료(23.10.31)
③연금계좌/교육비/월세 세액공제
연금계좌 내 세액공제 대상 납입한도가 최대 900만원까지 상향됩니다.
400만원(퇴직연금 포함 700만원) 에서 -> 600만원(최대 900만원)
개인연금과 퇴직연금의 노후소득 보장 강화목적으로
2023년 1월 1일 이후 납입하는 부분부터 적용됩니다.

자료 : 기획재정부 보도자료(2022년 세제개편안 상세본)
그리고 수능응시료,
대학입학전형료가 공제대상 교육비에 포함됩니다.

자료 : 기획재정부 보도자료(2022년 세제개편안 상세본)
월세 세액공제 대상주택 기준시가가
3억원에서 4억원으로 상향됩니다.
④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한도가 상향되어 연간 150만원에서
연간 200만원이 됩니다.

자료 : 기획재정부 보도자료(2022년 세제개편안 상세본)
그리고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감면에서
청년의 범위가 15세 ~29세에서
15세 ~34세로 변경되었습니다.
아래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사례를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자료 : 국세청 보도자료(23.10.31)
⑤과세표준구간 조정
서민과 중산층 세부담 완화 목적으로
소득세 과세표준 구간 및 근로소득세액공제가 조정됩니다.

자료 : 기획재정부 보도자료(2022년 세제개편안 상세본)
바뀌는 소득세 과세표준 구간은 아래와 같습니다.
1,400만원 이하 : 세율 6%
5,000만원 이하 : 세율 15%
5,000만원 초과 ~ 8,800만원 이하 : 세율 24%

자료 : 국세청 보도자료(23.10.31)
이상, 이번 연말정산에서 달라지는 개정세법 내용을
간략히 알아보았습니다.
모두 연말정산 화이팅입니다~!
자료 : 국세청,홈택스 홈페이지
위 내용은 별별의 개인적인 분석이므로 참고용으로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웃추가, 공감도 부탁드립니다:)